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바르트가 다른 곳에서 베벨(A. Bebel)의 글을 인용했을 때, 이 물음은 새로운 변화를 겪게 된다. <엄밀히 말하면 건강을 위협하는 미아스마 병균(Miasma)으로부터 인류를 보호하기 위해 하수구를 퍼내는 노동자는 사회에 매우 유익한 일원이다.> 반면에 <초자연적이고 초월적인 교리로 사람들의 머리를 흐릿하게 만들려고 시도하는 신학자><극단적으로 해로운> 존재다. 이에 대해 바르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여기서 신학자의 행동이라고 말해진 것을 우리가 행하게 되지 않도록 조심하자!>(/4, 612)”(33-34, 문장부호 수정인용)

 

바르트가 다른 곳에서 베벨(A. Bebel)의 글을 인용했을 때, 이 물음은 새로운 변화를 겪게 된다. <엄밀히 말하면 건강을 위협하는 미아스마(Miasma), 오염된 공기로부터 인류를 보호하기 위해 하수구를 퍼내는 노동자는 사회에 매우 유익한 일원이다.> 반면에 <초자연적이고 초월적인 교리로 사람들의 머리를 흐릿하게 만들려고 시도하는 신학자><극단적으로 해로운> 존재다. 이에 대해 바르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여기서 신학자의 행동이라고 말해진 것을 우리가 행하게 되지 않도록 조심하자!>(/4, 612)”

 

독일어 원문: [...] »Genau genommen ist der Arbeiter, der Kloaken auspumpt, um die Menschheit vor gesundheitsschädlichen Miasmen zu schützen ein sehr nützliches Glied der Gesellschaft«, wogegen »ein Theologe, der mit übernatürlichen, transzendenten Lehren die Gehirne zu umnebeln sucht« ein »aüßerst schädliches« Individuum sei. [...]

 

Miasma = 독기(毒氣), 오염된 공기

 

 

다음 글을 참고할 것:

 

1. 18548, 영국 역사상 가장 심각한 콜레라가 런던의 소호 지역에서 발생하였다. 불과 사흘 만에 130여명이 사망하였고, 열흘이 지나자 사망자는 500명 이상으로 불어났다. 당시 대다수의 사람들은 독기(毒氣, miasma)라고 불리는 나쁜 공기가 콜레라를 일으킨다고 믿었다.

 

2. 그리스 의학자 히포크라테스에 의하면 감염병이 지진·홍수·화산폭발 직후에 급격히 창궐하는데, 이것이 부패한 공기를 사람들이 흡입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렇게 오염된 공기를 미아스마(miasma)라고 부른다. 부패한 물질에서 나오는 입자가 가득한 독성 증기를 뜻한다. 미아스마가 중세의 흑사병(페스트)에서 19세기 전반의 콜레라에 이르기까지 각종 질병의 원인이라는 견해는 오랜 역사 속에서 사람들에게 널리 받아들여졌다.

 

1. http://www.korea.kr/celebrity/contributePolicyView.do?newsId=148824984

 

2. http://news.joins.com/article/21569313

 

 

 

August Bebel의 원문:

 

Straßenreinigen, Kloakenräumen, Schuttfahren, Tiefbauarbeiten usw. aller Art ließen sich schon bei dem heutigen Stande unserer Entwicklung mit Hilfe von Maschinen und technischen Einrichtungen in einer Weise erledigen, daß sie keine Spur von den Unannehmlichkeiten mehr haben, die damit vielfach für die Arbeiter verknüpft sind. Genau genommen ist aber ein Arbeiter, der Kloaken auspumpt, um die Menschen vor gesundheitsgefährlichen Miasmen zu schützen, ein sehr nützliches Glied der Gesellschaft, wohingegen ein Professor, der gefälschte Geschichte im Interesse der herrschenden Klassen lehrt, oder ein Theologe, der mit übernatürlichen transzendenten Lehren die Gehirne zu umnebeln sucht, äußerst schädliche Individuen sind.

 

-"Die Frau und der Sozialismus", 21. Kapitel: Grundgesetze der sozialistischen Gesellschaft, 7. Gleichheit der Arbeitspflicht für alle

 

-한국어 번역본: 아우구스트 베벨,여성론, 이순예 옮김, 까치, 199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