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헬라적 생애 기록에서 지배하던 역사편찬적이며 전기문학적인 진술과 선포적 의도(kerygmatischer Intention)의 결합은 복음서에서도 발견된다.(297-298)

 

헬라적 생애 기록에서 지배하던 역사편찬적이며 전기문학적인 진술과 선포적 의도(kerygmatische Intention)의 결합은 복음서에서도 발견된다.

 

독일어 원문: Die in der hellenistischen Vitenschreibung dominierende Verbindung von historiographischen und biographischen Aussagen mit kerygmatischer Intention findet sich auch in den Evangelien.

 

독일어 표제어를 바로잡았다.

 

독일어 표제어 = 단수 1



아래, 자료를 참고할 것:

 

Byung-Chul Han, Lob der Erde: Eine Reise in den Garten, Berlin 20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289, 각주 10

 

보캄은 완전히 다르게 본다.[R. Bauckham, “For whom were Gospels written?, ders. (Hg.), The Gospels for all Christians, 948.]

 

보컴 완전히 다르게 본다.[R. Bauckham, “For whom were Gospels written?, ders. (Hg.), The Gospels for all Christians, 948.]

 

 

독일어 원문: Völlig anders R. Bauckham, For whom were Gospels written?, in: ders. (Hg.), The Gospels for all Christians, 948.

 

따옴표 위치와 인명을 바로잡았다.

 

Bauckham = [ˈːkəm]

 

https://en.wikipedia.org/wiki/Richard_Bauckham

 

https://ko.wikipedia.org/wiki/%EB%A6%AC%EC%B2%98%EB%93%9C_%EB%B3%B4%EC%BB%B4

 

 

930<인명 찾아보기> ‘보캄과 해당 쪽수에 있는 이름도 모두 수정할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286, 각주 6

 

이에 반대하는 학자들은 다음과 같다. H. Weder, “‘Evangelium Jesu Christi’ (Mk 1, 1) und ‘Evangelium Gottes’ (Mk 1, 14), Die Mitte des Neuen Testaments (FS E. Schweizer), U. Luz u. H. Weder(Hg.), Göttingen 1983, (399411) 402.

 

이에 반대하는 학자는 베더. H. Weder, “‘Evangelium Jesu Christi’ (Mk 1, 1) und ‘Evangelium Gottes’ (Mk 1, 14), Die Mitte des Neuen Testaments (FS E. Schweizer), U. Luz u. H. Weder(Hg.), Göttingen 1983, (399411) 402. 베더는 마가복음 1:1을 속격 목적어로만 풀이하고자 한다.

 

독일어 원문: Gegen H. Weder, ‚Evangelium Jesu Christi‘ (Mk 1, 1) und ‚Evangelium Gottes‘ (Mk 1, 14), in: Die Mitte des Neuen Testaments (FS E.Schweizer), hg. v. U.Luz u. H.Weder, Göttingen 1983, (399411) 402, der Mk 1,1 nur als genitivus objectivus auflösen will.

 

따옴표 위치와 번역을 바로잡고, 빠진 문장을 보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복음서 기자들은 특히 구원사적 전승들을 수용하고, 실행 가능한 윤리 규범과 교회 안에 명령하고 지도하는 기관들을 설립하여 그러한 문제를 극복했다.(288)

 

복음서 기자들은 특히 구원사적 전승들을 수용하고, 실행 가능한 윤리 규범을 정비하고 교회 안에 체계적으로 지도하는 기관들을 설립하여 그러한 문제를 극복했다.

 

독일어 원문: Die Evangelisten bewältigten diese Probleme bes. durch die Aufnahme heilsgeschichtlicher Traditionen, die Ausarbeitung praktikabler ethischer Normen und die Einführung ordnender und weisender Instanzen in den Gemeinden.

 

빠진 단어를 보완하고 번역을 바로잡았다.

 

die Ausarbeitung praktikabler ethischer Normen

 

= 실행 가능한 윤리적 규범들의 완성

 

ordnend = 질서 있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마가는 역사 지리적-전기적 내러티브 본문과 케리그마적 호소를 확고하게 결합하고 십자가를 향한 예수의 길을 극적인 사건으로 묘사한다.(288)

 

마가는 사료 편찬적-전기적 내러티브 본문과 케리그마적 호소를 확고하게 결합하고 십자가를 향한 예수의 길을 극적인 사건으로 묘사한다.

 

독일어 원문: Indem Markus historiographisch-biographischen Erzähltext und kerygmatische Anrede fest verbindet und Jesu Weg zum Kreuz als dramatisches Geschehen darstellt, [...].

 

번역을 바로잡았다.

 

historiographisch = 사료 편찬의

 

 

508쪽의 번역을 볼 것:

 

역사 사료 편찬(Historiographie)은 무엇보다도 흩어져 있는 전승 파편에 의미 있는 맥락을 주입하는 예술이다.

 

Historiographie ist zuerst die Kunst, verstreuten berlieferungsfragmenten einen bedeutungsvollen Zusammenhang einzustifte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