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의 신약정경개론
우도 슈넬레 지음,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 대한기독교서회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3개월에 걸쳐 독일어 원문과 번역을 살펴보았다. 수정해야 할 곳이 680여 곳이다.

900여 쪽의 책이 용인하기에는 과도한 분량이다.

원문 누락, 용어 미통일(초대교회/고대교회, 차명문서/위서), 각주 누락·불일치, 오독·착독, 한국어 성경에 없는 장절수(4:15-16) .

자세한 것은 아래 사이트에 기록해 두었다.

https://blog.aladin.co.kr/livrebuch/category/93253038?communitytype=MyPaper

 

여기서는 지면 관계상, 원문과 반대로 번역된 몇 가지만 예로 든다.

 

1. unmittelbar = ‘직접적인이라는 뜻이다. 한데 두 곳이나 간접적인으로 번역되었다.

38: 간접적인 표현(unmittelbarer Ausdruck) 직접적인 표현

392: 간접적으로 표현한다 직접적으로 표현한다

 

2. unabhängig = 독립의, 자주적인

342: 두 복음서 기자가 문학적으로 서로 종속되었고 서로 독립되었고

 

3. zum letzten Mal = 마지막으로

495: 사도행전 18:5에서 처음으로 마지막으로

 

4. Aufgabe = 포기, 단념

30: 브레데는 교의학에 초점을 맞춘 성서신학의 과제를 요구하며 포기를 요구하며

 

번역자들 말대로 이 책은 최고의 신약학 개론서이다. “오랫동안 좋은 영향력을 미칠수 있도록 오류를 바로잡는 재번역을 촉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29, 각주 12

 

브레데를 따라 특히 레이제넨은 초기 정경의 경계가 그 어떤 역할도 하지 않는 그리스도교의 종교사를 옹호한다.(H. Räisänen, Beyond New Testament Theology, London/Philadelphia 1990.)

 

브레데를 따라 특히 래이새넨은 초기 정경의 경계가 그 어떤 역할도 하지 않는 그리스도교의 종교사를 옹호한다.(H. Räisänen, Beyond New Testament Theology, London/Philadelphia 1990.)

 

독일어 원문: Im Anschluss an Wrede plädiert insbesondere H. Räisänen, Beyond New Testament Theology, London/Philadelphia 1990, für eine frühchristliche Religionsgeschichte, in der Kanonsgrenzen bewusst keine Rolle spielen.

 

인명을 바로잡았다.

 

Räisänen = [ˈræi̯sænen] = 래이새넨 = 핀란드 신학자(1941-2015)

 

 https://en.wiktionary.org/wiki/R%C3%A4is%C3%A4nen

 

https://www.westarinstitute.org/blog/heikki-raisanen-in-memoria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큄멜의 경우에 정경 개념이 신약성서 전체의 구성을 결정하는데, 역사서술 책들(복음서와 사도행전)이 먼저 나오고, 이어서 서신들과 요한계시록이 언급된다.(30-31)

 

큄멜의 경우에 정경 개념이 그의 저서 신약정경개론 구성을 결정하는데, 역사서술 책들(복음서와 사도행전)이 먼저 나오고, 이어서 서신들과 요한계시록이 언급된다.

 

독일어 원문: Der Kanonsbegriff bestimmt bei Kümmel auch den Aufbau des Werkes, indem zunächst die Erzählungsbücher (Evangelien und Apg), dann die Briefe und die Johannesapokalypse besprochen werden.

 

번역을 바로잡았다.

 

den Aufbau des Werkes

 

= 작품[=큄멜의 신약정경개론]의 구성을

 

 

아래, 큄멜의 신약정경개론목차를 볼 것:

 

W. G. Kümmel, Einleitung in das neue Testament, Heidelberg 17197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브레데는 교의학에 초점을 맞춘 성서신학의 과제를 요구하며, 그 대신에 아주 의도적으로 정경을 포기하고 최초 그리스도교 문서 전체를 고려하는 최초 그리스도교의 종교사로 대치하려고 한다. 그래서 실제로 신약성서를 순수 역사적으로 이해하려는 과제를 실현하고자 시도한다.(30)

 

브레데는 교의학에 초점을 맞춘 성서신학의 포기를 요구하며, 그 대신에 최초 그리스도교의 종교사로 대치하려고 한다. 이 종교사는 최초 그리스도교 문서 전체를 고려하며 아주 의도적으로 정경을 포기한다. 그래서 실제로 신약성서를 순수 역사적으로 이해하려는 과제를 실현하고자 시도한다.

 

독일어 원문: Wrede fordert die Aufgabe einer dogmatisch orientierten Biblischen Theologie und will an ihre Stelle eine urchristliche Religionsgeschichte setzen, die die Gesamtheit der urchristlichen Schriften in Betracht zieht, auf den Kanon ganz bewusst verzichtet und so erst wirklich die Aufgabe eines rein historischen Verständnisses des Neuen Testamentes zu verwirklichen sucht.

 

번역을 바로잡았다.

 

Wrede fordert die Aufgabe einer dogmatisch orientierten Biblischen Theologie und will an ihre Stelle eine urchristliche Religionsgeschichte setzen

 

= 브레데는 교의적으로 지향된 성서신학의 포기를 요구하고 그 자리에 초기 그리스도교적 종교사를 대체한다

 

 

‘Aufgabe’의 상반된 의미에 주의할 것:

 

die Aufgabe fordern = ‘포기를 요구하다

 

die Aufgabe verwirklichen = ‘과제를 실현하다

 

 

29쪽의 번역을 볼 것:

 

한편으로는 정경에 의해 설정된 한계를 철저하게 포기하라는 요구가 생겼다.

 

독일어 원문: Auf der einen Seite entstand die Forderung nach konsequenter Aufgabe der durch den Kanon gesetzten Grenze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신약성서 시대사를 최초 그리스도교의 보편 역사로, ‘개론을 최초 그리스도교 문학[또는 문헌(Litteratur)] 역사로, 신약성서 최초 그리스도교 신학 역사로 대체한다.”(29)

 

“‘신약성서 시대사를 최초 그리스도교의 보편 역사로, ‘개론을 최초 그리스도교 문학[또는 문헌(Litteratur)] 역사로, 신약성서 신학 최초 그리스도교 신학 역사로 대체한다.”

 

독일어 원문: „Man setze an die Stelle der ‚neutestamentlichen Zeitgeschichte‘. . . eine allgemeine Geschichte des Urchristentums; an die Stelle der ‚Einleitung‘ eine Geschichte der urchristlichen Litteratur; an die Stelle der ‚neutestamentlichen‘ eine Geschichte der urchristlichen Theologie.“

 

번역을 바로잡았다.

 

an die Stelle der ‚neutestamentlichen [Theologie]‘ eine Geschichte der urchristlichen Theologie setzen

 

= ‘신약성서 신학을 최초 그리스도교 신학 역사로 대체한다

 

 

아래, H. HoltzmannG. Krüger 서평을 참고할 것:

 

Deutsche Literaturzeitung, Jg. XVII Nr. 41, Berlin 10. Oktober 1896, Sp. 1282-12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