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네스 발만, 경건주의, 이상조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5(2).

 

1615 안드레[]아른트를 기리기 위해 참된 기독교에서 발췌한 내용으로 그리스도인 도시 출간했다. 이 책에서 안드레[]는 토마소 캄파넬라(Campanella)태양의 국가(Sonnenstaat, [...])를 모델로 한 사회적 유토피아를 전개했다.(302)

 

1615이미 안드레[]아른트의 참된 기독교에서 발췌한 내용으로 책(진정한 기독교)을 펴냈고, 아른트를 기리기 위해 그리스도인 도시 출간했다. 이 책에서 안드레[]는 토마소 캄파넬라(Campanella)태양의 국가(Sonnenstaat, [...])를 모델로 한 사회적 유토피아를 전개했다.

 

독일어 원문: Andreae gab bereits 1615 einen Extrakt aus dem „Wahren Christentum“ heraus und widmete dem Andenken Arndts seine Campanellas „Sonnenstaat“ nachgebildete Sozialutopie „Christianopolis”.

 

번역을 바로잡았다.

 

여기서 말하는 안드레에의 책은 두 권:

 

진정한 기독교

 

그리스도인 도시

 

 

67쪽의 번역을 볼 것:

 

[...] 안드레[]는 일찍이 아른트의 참된 기독교에서 발췌한 내용을 진정한 기독교(Christianismus genuinus)라는 제목으로 출판(1615, 21643, 31644)했다.

 

독일어 원문: Andreae, [...], hat früh einen Auszug aus dem Wahren Christentum unter dem Titel „Christianismus genuinus“ publiziert (1615, 21643, 31644).

 

[...] 아른트에게 헌정된 그[안드레에]의 책 그리스도인 도시(Christianopolis, 1619)에서 나타난 사회적 유토피아가 경건주의적 천년왕국설과 거의 관련이 없기 때문이다.

 

독일어 원문: [...] die Sozialutopie seiner Johann Arndt gewidmeten „Christianopolis“ (1619) wenig mit dem pietistischen Chiliasmus verwandt is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