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29, 각주 12

 

브레데를 따라 특히 레이제넨은 초기 정경의 경계가 그 어떤 역할도 하지 않는 그리스도교의 종교사를 옹호한다.(H. Räisänen, Beyond New Testament Theology, London/Philadelphia 1990.)

 

브레데를 따라 특히 래이새넨은 초기 정경의 경계가 그 어떤 역할도 하지 않는 그리스도교의 종교사를 옹호한다.(H. Räisänen, Beyond New Testament Theology, London/Philadelphia 1990.)

 

독일어 원문: Im Anschluss an Wrede plädiert insbesondere H. Räisänen, Beyond New Testament Theology, London/Philadelphia 1990, für eine frühchristliche Religionsgeschichte, in der Kanonsgrenzen bewusst keine Rolle spielen.

 

인명을 바로잡았다.

 

Räisänen = [ˈræi̯sænen] = 래이새넨 = 핀란드 신학자(1941-2015)

 

 https://en.wiktionary.org/wiki/R%C3%A4is%C3%A4nen

 

https://www.westarinstitute.org/blog/heikki-raisanen-in-memoria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