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큄멜의 경우에 정경 개념이 신약성서 전체의 구성을 결정하는데, 역사서술 책들(복음서와 사도행전)이 먼저 나오고, 이어서 서신들과 요한계시록이 언급된다.(30-31)

 

큄멜의 경우에 정경 개념이 그의 저서 신약정경개론 구성을 결정하는데, 역사서술 책들(복음서와 사도행전)이 먼저 나오고, 이어서 서신들과 요한계시록이 언급된다.

 

독일어 원문: Der Kanonsbegriff bestimmt bei Kümmel auch den Aufbau des Werkes, indem zunächst die Erzählungsbücher (Evangelien und Apg), dann die Briefe und die Johannesapokalypse besprochen werden.

 

번역을 바로잡았다.

 

den Aufbau des Werkes

 

= 작품[=큄멜의 신약정경개론]의 구성을

 

 

아래, 큄멜의 신약정경개론목차를 볼 것:

 

W. G. Kümmel, Einleitung in das neue Testament, Heidelberg 17197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