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부셋(W. Bousset) 고린도후서 1-9장은 교회를 향한(153)

 

부세(W. Bousset) 고린도후서 1-9장은 교회를 향한

 

독일어 원문: W. Bousset sieht 2Kor 19 an die Gemeinde,


 

부셋((W. Bousset) 찰스(R. H. Charles) 이후(876)

 

부세((W. Bousset) 찰스(R. H. Charles) 이후

 

독일어 원문: seit W. Bousset und R. H. Charles


 

단편가설을 내세운 부셋은(891)

 

단편가설을 내세운 부세

 

독일어 원문:W. Boussets, der eine ‚Fragmenthypothese‘ vertrat


 

부셋의 시도는(891, 각주 69)

 

부세의 시도는

 

독일어 원문: der Ansatz Boussets

 

 

부셋(Bousset, W.)(931, 인명 찾아보기)

 

부세(Bousset, W.)

 

 

인명을 바로잡았다.

 

아래, 발음사전을 볼 것:

 

Duden Aussprachewörterbuch, 2005, 214.

 

 

발음 듣기:

 

https://forvo.com/search/Wilhelm%20Bousset/d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6:1-8:1 일곱 도장 환상(886)

 

6:1-8:1 일곱 봉인 환상

 

독일어 원문: 6, 18,1 Die Sieben-Siegel-Vision

 

단어를 바로잡았다.

 

 

요한계시록 6장을 볼 것:

 

일곱 봉인에 담긴 심판

1 내가 보매 어린 양이 일곱 인 중의 하나를 떼시는데 그 때에 내가 들으니 네 생물 중의 하나가 우렛소리 같이 말하되 오라 하기로

2 이에 내가 보니 흰 말이 있는데 그 탄 자가 활을 가졌고 면류관을 받고 나아가서 이기고 또 이기려고 하더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886, 각주 47

 

Ep X 96, 6(20년 전에 밀고자들은 그들의 신앙을 철회했다.)Ep X 96, 5를 가리킨다.

 

Ep X 96, 6(20년 전에 밀고당한 자들은 그들의 신앙을 철회했다.)Ep X 96, 5를 가리킨다.

 

독일어 원문: Neben Ep X 96, 6 (20 Jahre zuvor widerriefen Denunzierte ihren Glauben) ist auf Ep X 96,5 zu verweisen.

 

번역을 바로잡았다.

 

Denunzierte = 밀고당한 사람들

 

 

밀고자’ = Denunziant

 

884, 각주 41의 번역을 볼 것:

 

또한 많은 사람들이 밀고자에 의해 처형을 당했는데, 철학자였던 세라스(Seras)도 그중 하나였다.

 

독일어 원문: Auch von den Denunzianten wurden viele zum Tode verurteilt, unter ihnen der Philosoph Sera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황제 숭배에 참여하지 않으면 부분적으로 이미 도미티아누스 시대에도 있었던 젊은 플리니우스(7.2.4를 보라.)와 같은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 그리스도인들은 익명(예를 들어서 황제 숭배를 선전하는 사람들)에 의해 고발당했다.(플리니우스, Ep X 96,5) 그들이 황제 숭배를 거부하고 신앙을 굳게 지키면 결국 처형당했다.(Ep X 96, 3)(885-886)

 

황제 숭배에 참여하지 않으면 부분적으로 이미 도미티아누스 시대에도 있었던 젊은 플리니우스(7.2.4를 보라.)와 같은 조치가 취해질 수 있다. 그리스도인들은 익명(예를 들어서 황제 숭배를 선전하는 사람들)에 의해 고발당했다.(플리니우스, Ep X 96,4-5) 고발당한 그리스도인들은 바로 신들을 외쳐 불러야 했고 황제의 입상 앞에 제물을 바치며 그리스도를 모독해야만 했다.(플리니우스, Ep X 96,5) 그들이 황제 숭배를 거부하고 신앙을 굳게 지키면 결국 처형당했다.(Ep X 96, 3)

 

독일어 원문: Die Nichtbeteiligung am Kaiserkult konnte Masnahmen zur Folge haben, wie sie Plinius d. J. (s. o. 7.2.4) teilweise auch schon für die Zeit Domitians voraussetzt: Christen wurden anonym (z. B. durch Propagandisten des Kaiserkultes) angezeigt (Ep X 96,4f), sie mussten daraufhin die Götter anrufen, vor der Kaiserstatue Opfer darbringen und Christus lästern (Ep X 96, 5). Verweigerten sie sich und hielten am christlichen Glauben fest, war die Hinrichtung eine mögliche Folge (Ep X 96, 3).

 

빠진 문장을 보완, 번역을 바로잡았다.



최종 편집: 2024. 8. 3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8판 서문(5)

 

20127 할레에서

           우도 슈넬레

 

201211 할레에서

                 우도 슈넬레

 

독일어 원문: Halle, im November 2012 Udo Schnelle

 

서문을 기록한 달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