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쇄).
885쪽, 각주 44
스타우퍼는 전통적인 반대 입장을 취한다.[E. Stauffer, Christus und die Caesaren (위 9.3을 보라.), 172.] “우리가 묵시록을 로마에 있는 황제 신(Gottkaiser)의 전쟁 이야기에 저항하는 사도의 반대 이야기로 이해한다면, 새로운 눈으로 묵시록을 읽는 것이다.”
→ 슈타우퍼는 전통적인 반대 입장을 취한다.[E. Stauffer, Christus und die Caesaren (위 9.3을 보라.), 172.] “우리가 묵시록을 로마에 있는 황제 신(Gottkaiser)의 선전포고에 저항하는 사도들의 반대선언으로 이해한다면, 새로운 눈으로 묵시록을 읽는 것이다.”
독일어 원문: Die klassische Gegenposition vertritt E. Stauffer, Christus und die Caesaren (s. o. 9.3), 172: „Wir lesen die Apokalypse mit ganz neuen Augen, wenn wir sie so verstehen als die apostolische Gegenerklärung gegen die Kriegserklärung des Gottkaisers in Rom.“
• 인명과 번역을 바로잡았다.
• Ethelbert Stauffer = 에텔베르트 슈타우퍼 = 독일 신학자(1902-1979)
https://de.wikipedia.org/wiki/Ethelbert_Stauffer
• 아래, 독일어 발음사전을 볼 것:
Duden Aussprachewörterbuch, 2005, 745.
• Gegenerklärung = 반대선언, 항의, 부정(否定)
• Kriegserklärung = 선전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