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그러나 일곱이라는 숫자는 요한계시록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 충분하지 않고, 오히려 내용의 소재들을 배열하는 의도를 질문해야 한다. 그런 배열은 독자를 이끌어간다.(888)

 

그러나 일곱이라는 숫자는 요한계시록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 충분하지 않고, 오히려 내용의 소재들을 배열하는 의도를 질문해야 한다. 그런 의도가 독자를 이끌어간다.

 

독일어 원문: Zugleich reicht die Siebenzahl aber nicht aus, um den Aufbau der Offenbarung zu erfassen. Vielmehr muss nach den Intentionen der Stoffanordnung gefragt werden, die identisch mit der Leserführung sind.

 

번역을 바로잡았다.

 

die[=Intentionen] identisch mit der Leserführung sind

 

= 의도들은 독자 안내와 일치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885, 각주 44

 

스타우퍼는 전통적인 반대 입장을 취한다.[E. Stauffer, Christus und die Caesaren (9.3을 보라.), 172.] “우리가 묵시록을 로마에 있는 황제 신(Gottkaiser)전쟁 이야기에 저항하는 사도의 반대 이야기로 이해한다면, 새로운 눈으로 묵시록을 읽는 것이다.”

 

슈타우퍼는 전통적인 반대 입장을 취한다.[E. Stauffer, Christus und die Caesaren (9.3을 보라.), 172.] “우리가 묵시록을 로마에 있는 황제 신(Gottkaiser) 선전포고 저항하는 사도들의 반대선언으로 이해한다면, 새로운 눈으로 묵시록을 읽는 것이다.”

 

독일어 원문: Die klassische Gegenposition vertritt E. Stauffer, Christus und die Caesaren (s. o. 9.3), 172: „Wir lesen die Apokalypse mit ganz neuen Augen, wenn wir sie so verstehen als die apostolische Gegenerklärung gegen die Kriegserklärung des Gottkaisers in Rom.“

 

인명과 번역을 바로잡았다.

 

 

Ethelbert Stauffer = 에텔베르트 슈타우퍼 = 독일 신학자(1902-1979)

 

https://de.wikipedia.org/wiki/Ethelbert_Stauffer

 

아래, 독일어 발음사전을 볼 것:

 

Duden Aussprachewörterbuch, 2005, 745.

 

 

Gegenerklärung = 반대선언, 항의, 부정(否定)

 

Kriegserklärung = 선전포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도미티아누스는 실제로 부당하게 개인적이고 정치적인 이유에서 소아시아에서 황제 숭배를 하게 만들었다.(9.3을 보라.)(885)

 

도미티아누스는 제멋대로 종잡을 수 없게 행동하는 것으로 여겨졌고 개인적이고 정치적인 이유에서 소아시아에서 황제 숭배를 하게 만들었다.(9.3을 보라.)

 

독일어 원문: Domitian galt als willkürlich und unberechenbar und förderte aus persönlichen und politischen Gründen vor allem in Kleinasien den Kaiserkult (s. o. 9.3).

 

번역을 바로잡았다.

 

• willkürlich = 제 마음대로 하는

 

unberechenbar = 예측 불허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하지만 프루사의 디온과 마르시알리스의 진술을 받아들인다면 명확한 그림이 나온다.(885)

 

하지만 프루사의 디온과 마르티알리스의 진술을 받아들인다면 명확한 그림이 나온다.

 

독일어 원문: Nimmt man jedoch die Aussagen von Dion von Prusa und Martial hinzu, dann ergibt sich ein klares Bild

 

인명을 바로잡았다.

 

Martial = Martialis = 마르티알리스 = 고대 로마의 풍자시인

 

https://de.wikipedia.org/wiki/Martial

 

 

• 884쪽의 번역을 볼 것:

 

풍자시인 마르티알리스(Martialis, 38-1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885, 각주 43

 

Juv, Sat 4, 38. “마지막 플라비아 가문의 사람으로 이미 반은 죽어버린 세상을 갈갈이 찢어놓았고 로마의 냉혹한 네로의 노예였다.”

 

Juv, Sat 4, 38. “마지막 플라비우스 가문의 사람이 이미 반은 죽어버린 세상을 갈갈이 찢어놓았고 로마가 대머리 네로 같은 사람의 노예였을 때.

 

독일어 원문: Juv, Sat 4, 38: „als der letzte Flavier die schon halbentseelte Welt zerfleischte und Rom die Sklavin eines kahlen Nero war . . .“

 

번역을 바로잡았다.

 

als der letzte Flavier die schon halbentseelte Welt zerfleischte und Rom die Sklavin eines kahlen Nero war

 

= 마지막 플라비우스[=도미티아누스]가 이미 반쯤 죽은 세상을 갈기갈기 찢고 로마가 대머리 네로와 같은 사람의 노예였을 때

 

 

885쪽 각주 <43>이 붙어 있는 본문의 번역을 볼 것:

 

유베날리스는(55년경 출생)는 마침내 대머리 도미티아누스를 제2의 네로로 묘사했다.43

 

독일어 원문: Juvenal (geb. um 55 n. Chr.) schließlich bezeichnet den kahlköpfigen Domitian als zweiten Ner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