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유세비우스도 요한계시록이 사도의 문헌임을 확신하지 못했다. “요한의 계시로 생각되는 것이 좋을 수 있지만, 그것에 관해 여러 가지 의견이 존재하고 있다.”(HE III 25, 2)(873-874)

 

유세비우스도 요한계시록이 사도의 문헌임을 확신하지 못했다. 사도의 문헌에 요한계시록을 포함시키는 게 좋을 수 있지만, 그것에 관해 여러 가지 의견이 존재하고 있다.”(HE III 25, 2)

 

독일어 원문: Auch Euseb bleibt in seinem Urteil unsicher, zu den apostolischen Schriften kann, „wenn man es für gut hält, die Offenbarung des Johannes gezählt werden, über die verschiedene Meinungen bestehen“ (HE III 25, 2).

 

번역을 바로잡았다.

 

아래, 유세비우스의 인용 전문(全文)을 볼 것:

 

25. Kap. Die allgemein und nicht allgemein anerkannten Schriften der Bibel.

 

Es dürfte am Platze sein, hier die erwähnten Schriften des Neuen Testamentes zusammenzufassen. An die erste Stelle ist die heilige Vierzahl der Evangelien zu setzen, an welche sich die Apostelgeschichte anschließt. Nach dieser sind die Briefe des Paulus einzureihen. Sodann ist der sog. erste Brief des Johannes und in gleicher Weise der des Petrus für echt zu erklären. Zu diesen Schriften kann noch, wenn man es für gut hält, die Offenbarung des Johannes gezählt werden, über welche verschiedene Meinungen bestehen, die wir bei Gelegenheit angeben werden. Die erwähnten Schriften gehören zu den anerkannten.

 

https://bkv.unifr.ch/de/works/cpg-3495/versions/kirchengeschichte-bkv-2/divisions/6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873, 각주 4

 

예언자는 경직된 유대 그리스도교를 대변하지 않았고, 이방인 선교가 전제되어 있다.(참조. 7:9f., 5:9) 그는 유대인을 유대인의 회당에 종속시키지 않았다.(아래 9.8을 보라.); 참조. Bousset, Offb, 139 f.

 

예언자는 경직된 유대 그리스도교를 대변하지 않았고, 이방인 선교가 전제되어 있다.(참조. 7:9f, 5:9) 그는 유대인을 사탄의 회당에 종속시키지 않았다.(아래 9.8을 보라.); 참조. Bousset, Offb, 139 f.

 

독일어 원문: Der Seher vertrat allerdings kein starres Judenchristentum, die Heidenmission wird vorausgesetzt (vgl. Offb 7, 9 f; 5, 9), und er ordnet die Juden der ‚Synagoge des Satans‘ zu (s. u. 9.8); vgl. dazu die Überlegungen von W. Bousset, Offb, 139 f.

 

번역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요한계시록 저자의 설명에 따르면 요한계시록은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에게 근거를 둔다.(1:1a, 22:16)(872)

 

요한계시록 저자의 설명에 따르면 요한계시록은 예수 그리스도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에게 근거를 둔다.(1:1a, 22:16)

 

독일어 원문: Ihrem Selbstanspruch nach geht die Offenbarung auf Jesus Christus und über ihn auf Gott zurück (Offb 1, 1a; vgl. 22, 16).

 

번역을 바로잡았다.

 

예증(例症) 구절, 요한계시록 1:1을 볼 것: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라 이는 하나님이 그에게 주사 반드시 속히 일어날 일들을 그 종들에게 보이시려고 그의 천사를 그 종 요한에게 보내어 알게 하신 것이라

 

 Dies ist die Offenbarung Jesu Christi, die ihm Gott gegeben hat, seinen Knechten zu zeigen, was in Kürze geschehen soll; und er hat sie gedeutet und gesandt durch seinen Engel zu seinem Knecht Johanne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요한의 사상 가장 깊은 곳에는 사랑이 새겨져 있다. 아버지가 보낸 사랑은 사람들의 불신앙에도 불구하고 당신이 나를 사랑하는 것처럼 나를 보내셨고 당신이 그들을 사랑하고 있다”(17:23)라는 사실을 마침내 세상이 알 때까지 아들과 제자들의 활동으로 계속된다.(868)

 

요한의 사상 가장 깊은 곳에는 사랑이 새겨져 있다. 아버지에게서 나온 사랑은 사람들의 불신앙에도 불구하고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신 것과 또 나를 사랑하심 같이 그들도 사랑하신 것을”(17:23) 마침내 세상이 알 때까지 아들과 제자들의 활동으로 계속된다.

 

독일어 원문: Das johanneische Denken ist im Innersten vom Liebesgedanken geprägt, die vom Vater ausgehende Liebe setzt sich im Wirken des Sohnes und der Jünger fort, bis schließlich trotz des Unglaubens Vieler auch die Welt erkennt, „dass du mich gesandt hast und du sie geliebt hast, wie du mich geliebt hast“ (Joh 17, 23).

 

번역을 바로잡았다.

 

예증(例證) 구절, 요한복음 17:23을 볼 것:

 

곧 내가 그들 안에 있고 아버지께서 내 안에 계시어 그들로 온전함을 이루어 하나가 되게 하려 함은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신 것과 또 나를 사랑하심 같이 그들도 사랑하신 것을 세상으로 알게 하려 함이로소이다

 

ich in ihnen und du in mir, auf dass sie vollkommen eins seien und die Welt erkenne, dass du mich gesandt hast und sie liebst, wie du mich liebs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요한의 의미론적 동기는 제4복음서의 이해를 위한 열쇠이다. 이 동기들은 어떤 변경 가능한 체계 안에 있다. 이를 통해 제4복음서의 인상적인 신학 사상이 드러난다. 4복음서의 신학 사상은 하나님 사랑의 드라마적 그리스도론으로 드러난다. 예수의 말씀과 행위는 인간이 되신 하나님의 사랑의 구체화이기 때문이다.”(868)

 

사랑의 의미론적 동기는 제4복음서의 이해를 위한 열쇠이다. 이 동기들은 어떤 상호간의 연관 체계 안에 있다. 이를 통해 제4복음서의 인상적인 신학 사상이 드러난다. 4복음서의 신학 사상은 하나님 사랑의 드라마적 그리스도론으로 드러난다. 예수의 말씀과 행위는 인간이 되신 하나님의 사랑의 구체화이기 때문이다.”

 

독일어 원문: „Die liebessemantischen Motive haben eine Schlüsselfunktion für das Verständnis des vierten Evangeliums. Sie stehen in einem wechselseitigen Bezugssystem, durch welches die theologische Gedankenführung des vierten Evangeliums eindrücklich zutage tritt. Diese Konzeption kann als dramaturgische Christologie der Liebe Gottes bezeichnet werden, da die Worte und Taten Jesu die menschgewordene Liebe Gottes verkörpern.“

 

작은따옴표를 보완하고, 번역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