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신약성서 시대사를 최초 그리스도교의 보편 역사로, ‘개론을 최초 그리스도교 문학[또는 문헌(Litteratur)] 역사로, 신약성서 최초 그리스도교 신학 역사로 대체한다.”(29)

 

“‘신약성서 시대사를 최초 그리스도교의 보편 역사로, ‘개론을 최초 그리스도교 문학[또는 문헌(Litteratur)] 역사로, 신약성서 신학 최초 그리스도교 신학 역사로 대체한다.”

 

독일어 원문: „Man setze an die Stelle der ‚neutestamentlichen Zeitgeschichte‘. . . eine allgemeine Geschichte des Urchristentums; an die Stelle der ‚Einleitung‘ eine Geschichte der urchristlichen Litteratur; an die Stelle der ‚neutestamentlichen‘ eine Geschichte der urchristlichen Theologie.“

 

번역을 바로잡았다.

 

an die Stelle der ‚neutestamentlichen [Theologie]‘ eine Geschichte der urchristlichen Theologie setzen

 

= ‘신약성서 신학을 최초 그리스도교 신학 역사로 대체한다

 

 

아래, H. HoltzmannG. Krüger 서평을 참고할 것:

 

Deutsche Literaturzeitung, Jg. XVII Nr. 41, Berlin 10. Oktober 1896, Sp. 1282-128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