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르트루트 비[트]만, 『지거 쾨더, 성서의 그림들』, 유명철·이호훈 옮김, 사자와어린양, 2024(10).
① 예수님이 태어나시기 전에 마리아와 요셉이 묵을 방이 없었던 것처럼, 하나님은 이 세상에서 예수님의 탄생부터 죽음까지 ‘유토피아’1로서 존재하십니다.(243쪽)
→ 예수님이 태어나시기 전에 마리아와 요셉이 묵을 방이 없었던 것처럼, 사람이 되신 하나님은 이 세상에서 탄생부터 죽음까지 ‘유토피아’1로서 존재하십니다.
독일어 원문: Wie vor der Geburt Jesu kein Platz in der Herberge war für Maria und Josef, so ist Gott in Menschengestalt vom Anfang bis zum Ende seines irdischen Wirkens »utopisch« (so das griechische Wort in Lk 2,7, das übersetzt wird mit »kein Platz«) in dieser Welt.
② 1 ‘유토피아’는 그리스어 ‘οὐ’(아니다)와 ‘τόπος’(장소)의 합성어에서 유래한 단어로, 문자 그대로 풀어 쓰면 ‘존재하지 않는 장소’를 가리킨다. 누가복음 2장 7절에서 ‘여관’으로 번역된 ‘κατάλυματι’를 유토피아의 본래 뜻과 연결 지어 설명하고 있다.
→ 1 ‘유토피아’는 그리스어 ‘οὐ’(아니다)와 ‘τόπος’(장소)의 합성어에서 유래한 단어로, 문자 그대로 풀어 쓰면 ‘존재하지 않는 장소’를 가리킨다. 누가복음 2장 7절, ‘첫아들을 낳아 강보로 싸서 구유에 뉘었으니 이는 여관에 있을 곳이 없음이러라’에서 ‘있을 곳이 없음’을 유토피아의 본래 뜻과 연결 지어 설명하고 있다.
• 번역과 각주를 바로잡았다.
• 아래, 누가복음 2:7을 볼 것:
[...] 이는 여관에 있을 곳이 없음이러라
[...] διότι οὐκ ἦν αὐτοῖς τόπος ἐν τῷ καταλύματι.
[...] weil in der Herberge kein Platz für sie w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