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터 벤야민,기술적 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심철민 옮김, 도서출판 b, 2017(4).

 

심철민 선생님께

 

1

번역문, 원문에 명사 ‘Natur’가 다섯 차례 나옵니다.

 

그 가운데 한 문장입니다.

 

 

2

So wird handgreiflich, daß es eine andere Natur ist, die zu der Kamera als die zum Auge spricht.

 

 

3

81, 번역문:

 

이리하여 카메라에게 말을 거는 자연은 육안에게 말을 거는 자연과는 다른 것이라는 점이 명확해진다.

 

이리하여 카메라에게 말을 거는 특성은 육안에게 말을 거는 특성과는 다른 것이라는 점이 명확해진다.

 

 

4

무언가 착각을 하신 것 같습니다. 여기서 ‘Naur’자연이 아닙니다.

 

자연(自然), 정관사 die와 함께 씁니다: die Natur.

 

 

부정관사eine와 함께 쓰면, ‘특성이나 본질을 의미합니다.

 

 

5

기존 번역본을 살펴보겠습니다:

 

따라서 카메라에 나타나는 것은 육안으로 보는 것과는 다른 성질의 것임이 분명하다.(반성완)

 

따라서 카메라에 나타나는 것은 육안으로 보는 것과는 다른 성질의 것임이 분명하다.(최성만)

 

이렇게 볼 때 카메라를 통해서 나타나는 것과 육안을 통해서 포착되는 것은 다른 성질의 것이라는 점이 쉽게 이해될 수 있겠다.(차봉희)

 

 

6

하지만, 반성완과 최성만도 유사한 실수를 하고 있습니다.

 

벤야민의 다른 글, <사진의 작은 역사>에 위쪽의 독일어 원문과 비슷한 대목이 나옵니다.

 

 

(벤야민은 이 대목을 나중에 <기술적 복제시대의 예술작품> 216절과, 313절에 끼워 넣은 것입니다.)

 

 

7

Es ist ja eine andere Natur, welche zur Kamera als zum Auge spricht [...]

 

카메라에 비치는 자연은 눈에 비치는 자연과 다르기 때문이다.(반성완)

 

카메라에 비치는 특성은 눈에 비치는 특성과 다르기 때문이다.

 

 

카메라에 비치는 자연은 눈에 비치는 자연과 다른 법이다.(최성만)

 

카메라에 비치는 특성은 눈에 비치는 특성과 다른 법이다.

 

 

8

김화영은 알베르 카뮈의 작품을 번역하면서, 기존 번역본특히, 이휘영의 번역을 참고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이상적인번역 자세라고 생각합니다.

 

선학(先學)들이 축적해 놓은 원문 텍스트 이해와 한국어 표현 가능성을 살펴보고, 그 토대 위에서 자신의 이해와 표현 가능성을 확장해 가는 번역 방법과 태도이기 때문입니다.

 

 

박진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