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만 헤세,『데미안』(세계문학전집 44), 전영애 옮김, 민음사, 2010(2판 57쇄).
데미안의 말.
“<아직 선포되지는 않았어. 그러나 전쟁이 일어날 거야. 믿어. 지금껏 이 일로는 널 번거롭게 하지 않았어, 그러나 그때부터 나는 세 번 새로운 징후를 보았어. 그러니까 세계의 몰락도 아니고, 지진도 아니고, 혁명도 아닐 거야. 전쟁일 거야. 그것이 어떻게 닥치든지 나도 보겠지! 기뻐들 하겠지. 벌써부터 다들 한번 터지기를 바라며 기뻐하고 있어. 그들에게는 삶이 그토록 맥없어져 버린 거야. ─ 그러나 넌 보게 될 거야, 싱클레어. 이건 다만 다만 시작이야. [...] 새로운 것이란 낡은 것에 매달린 사람들에게는 충격적이겠지. 넌 무얼 할 거니?>”(213쪽, 부분삭제 인용)
→ “<아직 선포되지는 않았어. 그러나 전쟁이 일어날 거야. 믿어 봐. 지금껏 이 일로는 널 번거롭게 하지 않았어, 그러나 그때부터 나는 세 번 새로운 징후를 보았어. 그러니까 세계의 몰락도 아니고, 지진도 아니고, 혁명도 아닐 거야. 전쟁일 거야. 그것이 어떻게 닥치든지 너도 보겠지! 기뻐들 하겠지. 벌써부터 다들 한번 터지기를 바라며 기뻐하고 있어. 그들에게는 삶이 그토록 맥없어져 버린 거야. ─ 그러나 넌 보게 될 거야, 싱클레어. 이건 다만 시작이야. [...] 새로운 것이란 낡은 것에 매달린 사람들에게는 충격적이겠지. 넌 무얼 할 거니?>”
독일어 원문: »Er ist noch nicht erklärt. Aber es gibt Krieg. Verlaß dich drauf. Ich habe dich seither mit der Sache nicht mehr belästigt, aber ich habe seit damals dreimal neue Anzeichen gesehen. Es wird also kein Weltuntergang, kein Erdbeben, keine Revolution. Es wird Krieg. Du wirst sehen, wie das einschlägt! Es wird den Leuten eine Wonne sein, schon jetzt freut sich jeder aufs Losschlagen. So fad ist ihnen das Leben geworden. ― Aber du wirst sehen, Sinclair, das ist nur der Anfang. [...] das Neue wird für die, die am Alten hängen, entsetzlich sein. Was wirst du tun?«
• Du wirst sehen, wie das einschlägt! = 그것이 어떻게 닥치든지 너도 보겠지!
두 가지를 더 수정했다.
① Verlaß dich drauf.
“믿어.” → “믿어 봐.”
“믿어.”라고만 할 경우, 그 행위의 주체가 불분명하다.
② das ist nur der Anfang.
“이건 다만 다만 시작이야.” → “이건 다만 시작이야.”
‘다만’의 반복은 오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