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바르트,로마서, 손성현 옮김, 복 있는 사람, 2017(8).

 

역사 이해는 어제의 지혜와 오늘의 지혜 사이에서 행해지는 대화로서, 두 지혜 간의 대화는 계속되면서 더욱 솔직하게 점점 더 파고드는 대화로, 이 두 지혜는 하나이며 같다.(85)

 

역사 이해는 어제의 지혜와 내일의 지혜 사이에서 행해지는 대화로서, 두 지혜 간의 대화는 계속되면서 더욱 솔직하게 점점 더 파고드는 대화로, 이 두 지혜는 하나이며 같다.

 

독일어 원문: Geschichtsverständnis ist ein forgesetztes, immer aufrichtigeres und eindringenderes Gespräch zwischen der Weisheit von gestern und der Weisheit von morgen, die eine und dieselbe ist.

 

morgen = 내일

 

오늘 = heute

 

일종의 착독(錯讀): morgens아침에로 읽고 이를 오늘과 결부시키지 않았나, 싶다.

 

그리고, ‘역사는 과거와 현재의 대화라는 무의식도 한몫했겠다.

 

 

번역자의 은 보는 것만 본다. 그래서 밝은 편집자가 있어야 한다.

 

아니, 우리는 모두 서로의 이다.

 

 

이 되어 준 에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