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바르트,로마서, 손성현 옮김, 복 있는 사람, 2017(8).

 

“[...] 신학적인 비중이 있는 경우에도 대문자와 소문자를 쓰는 데 통일성이 없었다. 그래서 <Alte Testament>[구약성경]이라고 해놓고서 한줄 아래에서는 <neue Testament>[...]라고 썼다. <Heilige Geist>[성령]도 다음에는 <heilige Geist>[...]라고 썼다.”(81-82, 문장부호 수정 및 부분삭제 인용)

 

“[...] 신학적인 비중이 있는 경우에도 대문자와 소문자를 쓰는 데 통일성이 없었다. 그래서 <Altes Testament>[구약성경]이라고 해놓고서 한줄 아래에서는 <neues Testament>[...]라고 썼다. <Heiliger Geist>[성령]도 다음에는 <heiliger Geist>[...]라고 썼다.”

 

독일어 원문: Uneinheitlich ist aber ebenfalls - übrigens teilweise auch schon im Manuskript die Groß- oder Kleinschreibung auch in Fällen mit durchaus theologischem Gewicht so steht das «neue Testament» eine Zeile nach dem «Alten Testament» (S. 333), der «Heilige Geist» (S. 405) neben dem «heiligen Geist» (S. 430).

 

표제어의 형용사변화를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