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크 옐레,편안한 침묵보다는 불편한 외침을, 이용주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6(3).

 

“[...] 바르트의 삶을 통틀어 일관되게 존재하는 많은 상수들이 있다[...]. 그중 하나는 세계를 향한 관심과 깨어 있는 태도다. 바르트는 결코 상아탑에 갇혀 구슬치기나 하면서 말만 앞세우는 폐쇄적인 학자가 아니었다. 그는 성서 외에도 특히 신문을 관심 있게 읽었다.”(171, 부분삭제 인용)

 

“[...] 바르트의 삶을 통틀어 일관되게 존재하는 많은 상수들이 있다[...]. 그중 하나는 세계를 향한 관심과 깨어 있는 태도다. 바르트는 결코 상아탑에 갇혀 사변적 지적 유희나 하면서 말만 앞세우는 폐쇄적인 학자가 아니었다. 그는 성서 외에도 특히 신문을 관심 있게 읽었다.”

 

독일어 원문: [...] Barth war kein introvertierter Gelehrter, der sich in den sprichwörtlichen Elfenbeinturm zurückgezogen hätte, um sich dort einem Glasperlenspiel hinzugeben. Neben der Bibel war für ihn die Zeitung die wichtige Lektüre.

 

Glasperlenspiel = 사변적 지적 유희

 

독일 <Duden>사전의 뜻풀이를 참고할 것:

 

rein akademisches, theoretisch-abstraktes Gedankenspiel ohne praktischen Zwec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