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우리는 바로 그 은혜로운 시작을 우리의 하나님 인식의 시작이 되도록 함으로써, 즉 하나님을 인정함으로써, 하나님을 인식한다. 그러나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하신 그 시작의 은혜는 <우리의 인간적 주체성>의 지양이 아니라 <그것의 새로운 근거를 놓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시 말해 우리의 인간적 주체성은 하나님이 인간과 맺으시는 관계 안에 근거를 마련하는 가운데 참된 주체성을 회복하게 된다. 이 주체성은 우리 편에서 앞서 말한 인정의 행위를 실행하지만, 그것에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156, 문장부호 수정인용)

 

우리는 바로 그 은혜로운 시작을 우리의 하나님 인식의 시작이 되도록 함으로써, 즉 하나님을 인정함으로써, 하나님을 인식한다. 그러나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하신 그 시작의 은혜는 <우리의 인간적 주체성>의 지양이 아니라 <그것의 새로운 근거를 놓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시 말해 우리의 인간적 주체성은 하나님이 인간과 맺으시는 관계 안에 근거를 마련하는 가운데 참된 주체성을 회복하게 된다. 이 주체성은 앞서 말한 인정의 행위 가운데 우리 편에서 실행되지만, 그것에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우리의 인정 행위는 맹목적인 굴복이 아니며, 인정하는 가운데 이미 인식하는 행위다.”

 

독일어 원문: [...] Diese Subjektivität wird in jenem Anerkennen unsererseits betätigt und nicht etwa eingeschränkt. [...]

 

diese Subjektivität wird in A betätigt

 

= 이 주체성은 A 안에서 실행된다

 

주체성이 실행된 것은 인정 행위 때문이다.

 

주체성이 인정 행위를 실행한 것이 아니다.

 

이 문장이 수동태임을 주의할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