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우리가 들어야 하는 유일한 말씀>으로서의 예수 그리스도라는 표명은 19345월에 발표된 <바르멘 신학 선언> 1조의 인용이다. 당시 이 문장에는 성서가 증언하는 계시 외에, 1933년 바이에른의 라디오 방송인 <독일의 시간>(die deutsche Stunde)에서 일종의 하나님의 계시를 보았던 독일 그리스도인 연맹에 대한 거부가 내포되어 있다.”(133, 문장부호 수정인용)

 

“<우리가 들어야 하는 유일한 말씀>으로서의 예수 그리스도라는 표명은 19345월에 발표된 <바르멘 신학 선언> 1조의 인용이다. 당시 이 문장에는 성서가 증언하는 계시 외에, 1933히틀러의 집권기인 <독일의 시간>(die deutsche Stunde)에서 일종의 하나님의 계시를 보았던 독일 그리스도인 연맹에 대한 거부가 내포되어 있다.”

 

독일어 원문: Der Satz von Jesus Christus als dem »einem Wort Gottes, das wir zu hören haben«, zitiert die 1. These der Barmer Theologischen Erklärung vom Mai 1934, Damit war damals eine Absage an die Beutschen Christen verbunden, die neben der biblisch bezeugten Offenbarung auch in der deutschen Stunde von 1933 eine Art Gottesoffenbarung sahen.

 

예를 들어 라디오 방송 독일의 시간의 인식이 그렇게 주장한다!”(134)

 

예를 들어 히틀러의 집권기인 독일의 시간의 인식이 그렇게 주장한다!”

 

독일어 원문: Z. B. Erkenntnis der deutschen Stunde!

 

die deutsche Stunde = ‘독일의 시간

 

= ‘1933년 히틀러 집권과 더불어 나치즘과 독일 민족적 고유성이 현실 정치의 원리로 작동하던 시기

 

독일 신학자 파울 알트하우스(Paul Althaus)교회의 독일의 시간(Die deutsche Stunde der Kirche, 1933)을 참고할 것:

 

“Unsere evangelischen Kirchen haben die deutsche Wende von 1933 als ein Geschenk und Wunder Gottes begrüßt.”

 

아울러, H. G. 푈만의교의학(이신건 옮김, 신앙과지성사, 2012) 77-79쪽 글, ‘-계시와 독일적 그리스도인들의 신학을 볼 것.

 

아울러, 독일의 시간’(1)도 참고할 것:

 

http://blog.aladin.co.kr/livrebuch/95209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