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쇄).
“인식은 결코 그와 같은 대상의 근거가 될 수 없으며, 그 대상을 증명할 수도 없고 그 대상을 스스로 설정할 수도 없다. 왜냐하면 그 대상이 인식에게 자신을 전제하고, 스스로를 증명하며, 그 인식의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인식은 믿음이 승인한 개방된-진리를 뒤따를 수 있을 뿐이며, 그 진리를 <확인>하고 그 진리와 일치되려고 시도할 수 있을 뿐이다. 물론 이때 인식이 제기할 수 있는 물음은 그러한지 아닌지에 관한 것이 아니라, 오직 <어떤 한도에서 그러한지>, 그리고 <사실이 실제로 그렇다는 것>을 우리가 어떻게 그리스도교적으로 믿을 것인지의 물음이다.”(62-63쪽, 문장부호 수정인용)
→ “인식은 결코 그와 같은 대상의 근거가 될 수 없으며, 그 대상을 증명할 수도 없고 그 대상을 스스로 설정할 수도 없다. 왜냐하면 그 대상이 인식에게 자신을 전제하고, 스스로를 증명하며, 그 인식의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인식은 믿음이 승인한 개방된-진리를 뒤따를 수 있을 뿐이며, 그 진리를 <확인>하고 그 진리와 일치되려고 시도할 수 있을 뿐이다. 물론 이때 인식이 제기할 수 있는 물음은 그러한지 아닌지에 관한 것이 아니라, <사실이 실제로 그렇다는 것>을 우리가 그리스도교적으로 믿는 것이 오직 <어떤 한도에서 그러한지>에 관한 물음이다.”
독일어 원문: [...] Eben darum kann die Erkenntnis der im Glauben anerkannten Wahrheits-Eröffnung nur nachfolgen, sie »verifizieren«, ihr zu entsprechen suchen mit der Frage ― nicht ob, sondern nur, »inwiefern es so ist«, wie wir christlich glauben, »daß es so ist«.
• »inwiefern es so ist«, wie A
= A가 오직 <어떤 한도에서 그러한지>
• wie A [= wir christlich glauben, »daß es so ist«]
= <사실이 실제로 그렇다는 것>을 우리가 그리스도교적으로 믿는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