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터 벤야민,『기술적 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심철민 옮김, 도서출판 b, 2017(4).
심철민 선생님께
1
잘 아시겠지만, 반복된 단어는 생략됩니다.
2
(...) sie(=die Zeitlupe) entdeckt in diesen bekannten (Bewegungmotiven) ganz unbekannte (Bewegungsmotive), »die gar nicht als Verlangsamungen schneller Bewegungen sondern als eigentümlich gleitende, schwebende, überirdische wirken.«
Bewegungen―‘움직임들’―이 반복되어 뒤쪽은 생략되었습니다.
3
꺽쇠 괄호로 이 생략을 복원하겠습니다:
(...) sie(=die Zeitlupe) entdeckt in diesen bekannten (Bewegungmotiven) ganz unbekannte (Bewegungsmotive), »die gar nicht als Verlangsamungen schneller Bewegungen sondern als eigentümlich gleitende, schwebende, überirdische [Bewegungen] wirken.«
4
80-81쪽, 해당 번역:
그것[=슬로모션]은 오히려 익히 알려져 있는 이 양상들 속에서 미지의 양상들을 발견해내는 것이다. 즉 그것은 “신속한 움직임들을 완만하게 보이게끔 하는 것이 아니라, 미끄러지거나 떠다니는 듯한, 이 세상 것이 아닌 듯한 독특한 인상을 자아낸다.”
→ 그것[=슬로모션]은 오히려 익히 알려져 있는 이 양상들 속에서 미지의 양상들을 발견해내는 것이다. 즉 그것은 “신속한 움직임들을 완만하게 보이게끔 하는 것이 아니라, 미끄러지거나 떠다니는 듯한, 이 세상 것이 아닌 듯한 독특한 움직임들을 자아낸다.”
5
반복된 단어, ‘움직임들’ 대신에 뒤쪽에는 ‘인상’을 쓰셨는데, 무슨 특별한 이유가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
박진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