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트리크 쥐스킨트,『향수』, 강명순 옮김, 열린책들, 2002(17쇄).
그라스에 도착한 그르누이는 도시를 탐색한다.
“상점의 안쪽에서 나는 냄새를 더 주의 깊게 맡아 본 그르누이는 작은 격자무늬의 허름한 상점과 창고 뒤쪽에는 으리으리한 건물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 안에는 협죽도나무와 종려나무가 무성한, 작지만 매혹적인 정원이 있었다. 그 중앙에 있는 분수에서는 물이 솟구치고 있었다. 건물의 양ㅇ 날개는 대부분 U자형으로 남쪽을 향해 있었다. 2층에 있는 비단 카펫이 깔린 침실에는 햇살이 비쳐 들고 있었고, 1층 바닥에 외국산 나무가 깔린 응접실이 있었다.”(255쪽)
→ “상점의 안쪽에서 나는 냄새를 더 주의 깊게 맡아 본 그르누이는 작은 격자무늬의 허름한 상점과 창고 뒤쪽에는 으리으리한 건물들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 안에는 협죽도나무와 종려나무가 무성한, 작지만 매혹적인 정원이 있었다. 그 중앙에 있는, 꽃밭에 둘러싸인 분수에서는 물이 솟구치고 있었다. 건물들의 익랑(翼廊)은 정원을 에워싼 채 대부분 U자형으로 남쪽을 향해 있었다. 2층에 있는 비단 벽지를 바른 침실에는 햇살이 비쳐 들고 있었고, 1층 바닥에 외국산 나무가 깔린 응접실이 있었다.”
독일어 원문: Und wenn er schärfer hinroch, durch die zur Straße gelegenen prosaischen Geschäfts- und Lagerräume hindurch, dann entdeckte er, daß auf der Rückseite dieser kleinkarierten Bürgerhäuser sich Gebäulichkeiten der luxuriösesten Art befanden. Um kleine, aber reizende Gärten, in denen Oleander und Palmen gediehen und zierliche von Rabatten umfaßte Springbrunnen gurgelten, dehnten sich, meist U-förmig nach Süden gebaut, die eigentlichen Flügel der Anwesen aus: sonnendurchflutete, seidentapetenbespannte Schlafgemächer in den Obergeschossen, prächtige mit exotischem Holz getäfelte Salons zu ebener Erde [...]
• seidentapetenbespannt = 비단 벽지로 도배한
Tapete―‘벽지’―를 Teppich―‘카펫’―로 잘못 읽음.
빠진 부분을 보완하고, 원문의 의미가 더 분명히 드러나도록 부분 수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