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병철,땅의 예찬, 안인희 옮김, 김영사, 2018(3).

 

 

안인희 선생님께

 

 

이 책 10쪽의 인용문입니다:

 

일찍이 노자는 다음과 같이 가르쳤다.

 

세계는 신비로운 주발 같다. 우리는 그것을 붙잡지 못한다. 그것을 붙잡으려는 사람은 잃어버린다.”

 

Bereits Laotse lehrt:

 

Die Welt ist wie eine geheimnisvolle Schale. Man kann sie nicht fassen. Wer sie begreifen will, wird sie verlieren.

 

 

저는 선생님의 번역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주발이라함은 놋쇠로 만든 밥그릇을 말합니다.

 

그런데, 놋쇠 밥그릇은 붙잡을 수 없고, 붙잡으려고 하면 잃어버린다니요?

 

 

이 노자 인용구는도덕경29장의 일부입니다.

 

천하는 신령한 그릇이어서

그것에 무엇을 할 수 없다.

하는 자는 망치고,

잡는 자는 잃는다.”

 

天下神器, 不可爲也, 爲者敗之, 執者失之.

 

 

저는 선생님이 도덕경원문과 그 한글 번역본을 살펴보셨다면, 지금과는 다른 번역 결과물이 나왔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2018. 3. 17.

 

박진곤

 

 

추신: 위 노자의 번역자는 김하풍─『노자 도덕경, 문예출판사, 2003, 114-115.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병철,땅의 예찬, 안인희 옮김, 김영사, 2018(3).

 

 

안인희 선생님께

 

 

어제 신문에 난 책 소개를 보았습니다.

 

선생님과 한병철에 대한 관심 때문에, 책 일부를 살펴보았습니다.

 

번역에 몇 가지 의문이 생겨 적습니다.

 

 

첫 번째 문장:

 

어느 날 땅에 더 가까워지고 싶다는 동경을, 아니 날카로운 욕구를 느꼈다.”(8)

 

Eines Tages spürte ich eine tiefe Sehnsucht, ja eine akutes Bedürfnis, der Erde nahe zu sein.

 

 

선생님은 독일어 akut날카로운으로 옮겼는데, 무슨 특별한 이유가 있는 건가요?

 

잘 아시겠지만, 이 단어의 기본 뜻은 절박한’, ‘긴급한에 가깝습니다.

 

(독일어 <두덴>사전의 뜻풀이

 

= im Augenblick herrschend; vordringlich, brennend; unmittelbar)

 

첫 문장에서 저자 한병철의 절박한 욕구가 독자들에게 분명히 전달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018. 3. 17.

 

박진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김화영이 카뮈의페스트를 번역, 책세상에서 단행본으로 출판한 건, 1992,

 

여기서는 계절의 변화도 하늘을 보고 읽을 수 있을 뿐이다. 봄이 오고 있다는 것도 오직 바람결이나 어린 장사꾼들이 교외에서 가지고 오는 꽃광주리를 보고서야 겨우 알 수 있다. 말하자면 시장에서 파는 봄인 것이다.

 

 

2

책세상이 이 단행본페스트<알베르 카뮈 전집 7>으로 재출간한 건, 1998.

 

여기서는 계절의 변화도 하늘을 보고 읽을 수 있을 뿐이다. 봄이 오고 있다는 것도 오직 바람결이나 어린 장사꾼들이 교회에서 가지고 오는 꽃광주리를 보고서야 겨우 알 수 있다. 말하자면 시장에서 파는 봄인 것이다.

 

 

3

2011, 김화영은 민음사에서페스트를 재출간하면서 기존 책세상의 전집 7,페스트를 살펴보다가 깜짝 놀란다.

 

교외가 교회로 바뀌다니.

 

책세상 편집부에서 <알베르 카뮈 전집> 교정 작업을 하다, 교외를 교회로 오해하고 고쳤구나.

 

김화영은 이런 오해를 피하고 싶다.

 

 

4

그래서 나온, 2011년 민음사페스트(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67) 번역본:

 

여기서는 계절의 변화도 하늘을 보고 읽을 수 있을 뿐이다. 봄이 온다는 것도 오직 바람결이나 어린 장사꾼들이 변두리 지역에서 가지고 오는 꽃 광주리를 보고서야 겨우 알 수 있다. 말하자면 시장에서 파는 봄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말 없는 피조물은 의미되면서 구원을 희망할 수 있다.” 발터 벤야민의 <독일 비애극의 원천>을 인용하면서 <인생극장>의 막은 올라간다.

 

<한겨레>(2018. 2. 2) 신문, 이다혜가 쓴 서평 첫 두 문장.

 

 

2

발터 벤야민의 독일어 원문:

 

Die stumme Kreatur ist fähig, auf Rettung durchs Bedeutete zu hoffen.

 

 

3

stumm = 벙어리의, 말할 능력이 없는

 

das Bedeutete = 의미되어진 것, 의미 부여된 것

 

 

4

말할 능력이 없는 피조물은 누군가 그들의 존재와 의미를 글로 표현해주어야 언어의 영역에서 살아남을 가망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리처드 플래너건,먼 북으로 가는 좁은 길, 김승욱 옮김, 문학동네, 2018(1).

 

1

도리고 에번스의 형, 톰은 1차세계대전 참전 병사.

 

 

2

톰이 돌아온 날 밤 식구들은 카이저를 모닥불에 태웠다. 톰은 전쟁에 대해서, 독일인들에 대해서, 휘발유와 탱크에 대해서, 이곳에서도 들을 수 있었던 참호에 대해서는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 아예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한 사람의 감정이 항상 삶의 무게와 같은 것은 아니다. 때로는 이렇다 할 가치가 없을 때도 있다. 형은 그저 모닥불만 빤히 바라보았다.(15)

 

톰이 돌아온 날 밤 식구들은 카이저를 모닥불에 태웠다. 톰은 이곳에서도 들을 수 있었던 전쟁에 대해서, 독일인들에 대해서, 독가스 탱크에 대해서, 참호에 대해서는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 아예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한 사람의 감정이 항상 삶의 무게와 같은 것은 아니다. 때로는 이렇다 할 가치가 없을 때도 있다. 형은 그저 모닥불만 빤히 바라보았다.

 

That night Tom came home they burnt the Kaiser on a bonfire. Tom said nothing of the war, of the Germans, of the gas and the thanks and the trenches they heard about. He said nothing at all. One man’s feeling is not always equal to all life is. Sometimes it’s not equal to anything much at all. He just stared in to the flames.

 

 

3

1차세계대전의 특징:

 

참호전.

 

탱크의 출현.

 

독가스 살포.

 

 

4

1차세계대전의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이 장면은 참전 병사와 그 가족의 내면을 모닥불 불빛과 침묵으로 형상화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