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온 포이히트방거,『고야, 혹은 인식의 혹독한 길』(대산세계문학총서 147), 문광훈 옮김, 문학과지성사, 2018(2).
문광훈 선생님께
번역할 때 주의해야 할 사항 가운데 하나는 어휘 선택입니다.
역사적·정치적·종교적 상황이나 배경에 맞는 적확한 단어 선정은 번역의 완성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독자들이 이물감 없이 작품에 몰입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줍니다.
① 눈[雪] 사이로 작은 종소리가 들려왔다. 어떤 목사와 합창단 소년이 성체(聖體)를 든 채 바람을 가르며 가는 것을 그는 보았다. 분명 그것은 임종을 앞둔 어떤 사람에게 가는 길이었다.(27쪽)
→ 눈[雪] 사이로 작은 종소리가 들려왔다. 어떤 사제와 복사(服事)가 성체(聖體)를 든 채 바람을 가르며 가는 것을 그는 보았다. 분명 그것은 임종을 앞둔 어떤 사람에게 가는 길이었다.
독일어 원문: Ein kleines Klingeln kam durch den Schnee, und dann sah er, wie sich ein Priester und ein Chorknabe mit dem Allerheiligsten durch das Wetter arbeiteten, offenbar auf dem Wege zu einem Sterbenden.
② 벨라스케스가 그린, 턱수염 난 주교는 뭔가 지루한 듯 어두운 눈으로 보고 있었는데, 섬광 아래에서 보는 그는 유령 같았다.(28쪽)
→ 벨라스케스가 그린, 턱수염 난 추기경은 다른 쪽 벽에서 뭔가 지루한 듯 어두운 눈으로 보고 있었는데, 깜박거리는 불빛에 보는 그는 유령 같았다.
독일어 원문: Der kinnbärtige Kardinal, der, von Velázquez gemalt, aus finstern, etwas gelangweilten Augen von der andern Wand schaute, wurde gespenstisch in dem Geflacker, [...]
이 소설의 배경은 18세기 말, 가톨릭 국가 스페인입니다. 그런데 첫 번째 예문에서 ‘목사’라는 단어를 접한 독자들은 적잖이 당황할 수밖에 없습니다. ‘목사’는 가톨릭이 아닌 개신교에서 성직자를 가리킬 때 쓰는 용어이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여기서 말하는, 종부성사 자체가 개신교에는 없습니다.)
두 번째 예문의 ‘주교’는 가톨릭에서 쓰는 용어가 맞습니다. 하지만 세분해서 보자면, 올바른 용어가 아닙니다. 가톨릭 성직자는 교황-추기경-대주교-주교-사제로 구분됩니다. 그리고 독일어 원문에 나오는 Kardinal은 ‘추기경’을 말합니다.
(주교 신분으로서는 터무니없었을 것이고 추기경쯤 되었어야, 당시 궁정화가 벨라스케스에게 초상화를 의뢰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이 작품에서 말하는, 벨라스케스가 그렸을 턱수염 난 추기경이 궁금해 찾아보았더니 세 사람의 추기경 초상화가 있습니다.
포이히트방어가 이 소설에서 말하는 추기경이 누굴까, 세 초상화를 한참 들여다보았습니다.)
2018. 3. 31.
박진곤
Gaspar de Borja y Velasco(1580-1645)
Camillo Astalli(1616/1619-1663)Camillo Massimo(1620-16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