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동시에 안트베르펜에 있는 칼뱅주의 교회는 다른 모든 지역플란더, 발롱어를 쓰는 플란더, 하이나우트(헤네가우) 그리고 아르토이스(아르테제엔)에 대한 개혁파 프로테스탄티즘의 확장과 지원을 위해 주도적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대도시들은 플란더 지방과 발롱어를 쓰는 지방에서 박해를 받던 칼뱅주의자들의 중요한 도피처가 되었다.(41)

 

동시에 안트베르펜에 있는 칼뱅주의 교회는 다른 모든 지역플랑드르, 왈롱어를 쓰는 플랑드르, 에노(헤네가우) 그리고 아르투아(아르테지엔)에 대한 개혁파 프로테스탄티즘의 확장과 지원을 위해 주도적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대도시들은 플랑드르 지방과 왈롱어를 쓰는 지방에서 박해를 받던 칼뱅주의자들의 중요한 도피처가 되었다.

 

독일어 원문: Gleichzeitig übernahm die calvinistische Kirche in Antwerpen eine Führungsrolle bei der Verbreitung und Unterstützung des reformierten Protestantismus in alle anderen Provinzen, wie Flandern, Wallonisch-Flandern, Hainaut (Hennegau) und Artois (Artesien). Vor allem aber stellte die Metropole einen wichtigen Zufluchtsort für verfolgte Calvinisten aus Flandern und den wallonischen Provinzen dar.

 

Flandern = Flandre = 플랑드르

 

= 벨기에의 서부를 중심으로, 프랑스 북부와 네덜란드 남부의 일부를 포함하는 지방.

 

Hennegau = Hainaut = 에노 = 벨기에의 주()

 

Artesien = Artois = 아르투아

 

= 프랑스 북부, 아르투아 구릉을 차지하고 있는 지방

 

지명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1554년 안트베르펜에서는 발론 사람들(프랑스어를 구사하는 사람들)의 교회가 설립되었다. 1년 후에는 네덜란드어를 쓰는 사람들의 교회도 설립되었다. 기존의 교회들은 처음부터 빈틈없이 조직되었다.(40)

 

1554년 안트베르펜에서는 왈롱 사람들(프랑스어를 구사하는 사람들)의 교회가 설립되었다. 1년 후에는 네덜란드어를 쓰는 사람들의 교회도 설립되었다. 이 두 교회들은 처음부터 빈틈없이 조직되었다.

 

독일어 원문: 1554 wurde in Antwerpen eine wallonische (d. h. französischsprachige) Kirche gegründet, ein Jahr später folgte die Gründung einer niederländischsprachigen Gemeinde. Beide Kirchen waren von Anfang an straff organisiert

 

wallonisch = 왈롱 사람의

 

왈롱 = 벨기에의 프랑스어 사용 지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재세례파 교도들은 무자비한 박해를 받기는 했으나 지하에서 활동하는 중요한 교회들을 세우는 데 성공했다. 그들의 지도자들은 이른바 한 점 흠도 없는형제로 받아들이기 위한 엄밀한 기준을 세웠다.(40)

 

재세례파 교도들은 무자비한 박해를 받기는 했으나 지하에서 활동하는 중요한 교회들을 세우는 데 성공했다. 그들의 지도자들은 이른바 한 점 티도 주름도 없는형제로 받아들이기 위한 엄밀한 기준을 세웠다.

 

독일어 원문: Obwohl die Täufer unerbittlich verfolgt wurden, gelang es ihnen, bedeutende Gemeinden zu gründen, die im Untergrund aktiv waren. Ihre Leiter stellten strenge Kriterien für die Aufnahme in die sogenannte Bruderschaft „ohne Fleck oder Runzel‟ auf: [...]

 

ohne Fleck oder Runzel = 티나 주름 없는

 

출전(出典)을 근거로, 문구를 수정했다.

 

출전 = 에베소서 5;27

 

루터성경:

 

damit er für sich die Gemeinde herrlich bereite, die keinen Flecken oder Runzel oder etwas dergleichen habe, sondern die heilig und untadelig sei.

 

표준새번역:

 

, 주름이나, 또 그와 같은 것들이 없이, 아름다운 모습으로 교회를 자기 앞에 내세우시려는 것이며, 교회를 거룩하고 흠이 없게 하시려는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안트베르펜 시정부는 이단 세력과의 전쟁을 위한 중앙정부의 칙령을 엄격히 적용하려고 했으며, 1535년에는 재세례파 여덟 명에게 사형을 신고했고, 1550년까지 열다섯 명을 사형시켰다. 기소된 재세례파 교도 대부분은 단순 노동자들이었다. 이와 같은 박해는 이후 수년 동안 계속되었다.(40)

 

안트베르펜 시정부는 이단 세력과의 전쟁을 위한 중앙정부의 칙령을 엄격히 적용하려고 했으며, 1535년에는 재세례파 여덟 명에게 사형을 신고했고, 1550년까지 열다섯 명을 사형시켰다. 기소된 재세례파 교도 대부분은 단순한 수공업자이었다. 이와 같은 박해는 이후 수년 동안 계속되었다.

 

독일어 원문: Die Antwerpener Stadtregierung setzte die Edikte der Zentralregierung zur Ketzereibekämpfung strikt um und verurteilte im Jahr 1535 acht Täufer zum Tode, bis zum Jahr 1550 folgten weitere fünfzehn Todesurteile. Die meisten der angeklagten Täufer waren einfache Handwerker. Diese Art der Verfolgung wurde in den nächsten Jahrzehnten fortgeführt.

 

Handwerker = 수공업자, 장인(匠人)

 

단어를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우리는 또한 베아른, 제네바, 노이엔부르크/뉴샤펠시의 종교개혁 논문들을 번역해주신 필립 볼프(Gerhard Philipp Wolf) 박사와 페라라시의 종교개혁 논문을 번역해주신 드 랑에 박사에게도 감사를 드린다.

우리는 이 책을 잠시 동안 심한 병환으로 고통을 겪은 후 2015119일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베버(Friedrich Weber) 감독을 가슴 깊이 기억하면서 그분에게 헌정하고자 한다.(9)

 

우리는 또한 베아른, 제네바, 노이엔부르크/뇌샤텔시의 종교개혁 논문들을 번역해주신 필립 볼프(Gerhard Philipp Wolf) 박사와 페라라시의 종교개혁 논문을 번역해주신 드 랑에 박사에게도 감사를 드린다.

우리는 이 책을 잠시 동안 심한 병환을 겪은 후 2015119일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베버(Friedrich Weber) 감독을 가슴 깊이 기억하면서 그분에게 헌정하고자 한다.

 

독일어 원문: [...] Dr. Gerhard Philipp Wolf (Béarn; Genf; Neuenburg/Neuchâtel) und Dr. Albert de Lange (Ferrara) für ihre Mühe.

Wir widmen dieses Buch dem Andenken an Bischof Friedrich Weber, der am 19. Januar 2015 nach kurzer schwerer Krankheit verstorben ist.

 

Neuenburg = Neuchâtel = 뇌샤텔 = 스위스 뇌샤텔 주의 주도(州都)

 

삭제할 것:

 

으로 고통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