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조, 공법(公法)상 주()교회인 독일 개신교회의 역사적 형성과정과 그에 따른 교회체제의 특징, <장신논단> 492, 2017, 159-186.

 

165, 각주 8

 

그 외에도 독일 기본법의 서문(Praambel)하나님과 인간에 대한 책임에 대한 의식 속에 서”(Im Bewußtsein seiner Verantwortung vor Gott und den Menschen)라고 시작함으로써 독일 연방공화국을 수립할 때의 기본 인식이 기독교적 세계관에 근거하고 있음을 공공연하게 보여주고 있다.

 

그 외에도 독일 기본법의 전문(Praambel)하나님과 인간 앞에서 책임에 대한 의식 속에서”(Im Bewußtsein seiner Verantwortung vor Gott und den Menschen)라고 시작함으로써 독일 연방공화국을 수립할 때의 기본 인식이 기독교적 세계관에 근거하고 있음을 공공연하게 보여주고 있다.

 

각주의 번역을 바로잡았다.

 

im Bewußtsein seiner Verantwortung vor Gott und den Menschen,

 

= 하나님과 사람들 앞에서 자신의 책임을 자각하면서

 

 

하나님과 인간에 대한 책임’ = Verantwortung für Gott und die Menschen

 

 

독일 기본법:

 

https://www.bundestag.de/g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니콜라스 스타가르트, 독일인의 전쟁 1939-1945, 김학이 옮김, 교유서가, 2024(2).

 

나는 발터 켐포프스키가 수집해놓은 개인 아카이브를 그가 아직 살아있을 때 읽을 수 있는 행운을 누렸다. 나는 발터와 힐데가르트 켐포프스키가 그들의 대안 산부인과 의료공동체에서 내게 보여준 환대를 잊지 못한다. 지금 그 소장품들은 베를린 예술아카데미에 보관되어 있다.(19)

 

나는 발터 켐포프스키가 수집해놓은 개인 아카이브를 그가 아직 살아있을 때 읽을 수 있는 행운을 누렸다. 나는 발터와 힐데가르트 켐포프스키가 독일 나르툼에 있는 그들의 집에서 내게 보여준 환대를 잊지 못한다. 지금 그 소장품들은 베를린 예술아카데미에 보관되어 있다.

 

영어 원문: I was particularly fortunate in having access to the private archive assembled by Walter Kempowski while he was still alive, and well remember the generous welcom which Walter and Hildegard Kempowski gave me to their home in Natum: the archive itself is now held at the Akademie der Künste in Berlin.

 

번역을 바로잡았다.

 

Nartum = (독일 도시 이름) 나르툼

 

Natum = 영어 저자의 오기(誤記)

 

 

아래, 자료를 볼 것:

 

https://en.wikipedia.org/wiki/Walter_Kempowsk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인리히 뵐, 그리고 아무말도 하지 않았다, 홍성광 옮김, 열린책들, 2011(7).

 

제르게 신부의 목소리를 듣자 모든 용기가 싹 달아났다. 아주 짧은 순간 내 머릿속에 수많은 생각이 스쳐 지나갔다. 내가 돈을 꾸어 달라고 하면 자기 직원인 나, 빚쟁이인 나를 혹시 해고시키지나 않을까.(64)

 

제르게 신부의 목소리를 듣자 모든 용기가 싹 달아났다. 아주 짧은 순간 내 머릿속에 수많은 생각이 스쳐 지나갔다. 내가 돈을 꾸어 달라고 하면 자기 직원인 나와 돈을 꾸려는 나를 별개로 취급하지 않을까.

 

독일어 원문: Der Tonfall seiner Stimme nahm mir allen Mut, und es ging viel in einer einzigen Sekunde durch meinen Kopf: ob er, wenn ich ihn um Geld fragte, wohl mich, seinen Angestellten, von mir, dem Geldleiher, würde trennen können, [...].

 

번역을 바로잡았다.

 

ob er [...] wohl mich, seinen Angestellten, von mir, dem Geldleiher, würde trennen können

 

= 그가 어쩌면 나, 즉 자기 직원을 나, 즉 돈 빌리는 사람과 분리할 수도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인리히 뵐, 아일랜드 일기, 안인길 옮김, 미래의창, 2014(7).

 

독일에서는 누구에게 무슨 일이 생겼을 때, 즉 열차를 놓치거나 다리를 삐거나 파산했을 경우, 이렇게 말한다. “이보다 더 나쁜 일은 없을 거야.” 무슨 사고가 나면, 그것은 언제나 가장 나쁜 경우에 해당된다. 그러나 아일랜드에서는 이와는 거의 반대다. 여기서는 다리를 삐고, 열차를 놓치고, 파산했을 경우, “더 나쁜 일도 생길 수 있었다고 말한다. 다리 대신에 목을 삘 수 있었다. 열차 대신에 하늘을 놓칠 뻔했다. 파산 대신에 영혼의 평화를 잃을 뻔했다.(163)

 

독일에서는 누구에게 무슨 일이 생겼을 때, 즉 열차를 놓치거나 다리를 삐거나 파산했을 경우, 이렇게 말한다. “이보다 더 나쁜 일은 없을 거야.” 무슨 사고가 나면, 그것은 언제나 가장 나쁜 경우에 해당된다. 그러나 아일랜드에서는 이와는 거의 반대다. 여기서는 다리를 삐고, 열차를 놓치고, 파산했을 경우, “더 나쁜 일도 생길 수 있었다고 말한다. 다리 대신에 목을 삘 수 있었다. 열차 대신에 천당을 놓칠 뻔했다. 파산 대신에 영혼의 평화를 잃을 뻔했다.

 

독일어 원문: Passiert einem in Deutschland etwas, versäumt man den Zug, bricht man ein Bein, macht man Pleite, so sagen wir: Schlimmer hätte es nicht kommen können; immer ist das, was passiert, gleich das Schlimmste bei den Iren ist es fast umgekehrt: bricht man hier ein Bein, versäumt man den Zug, macht man Pleite, so sagen sie: It could be worse es könnte schlimmer sein: man hätte statt des Beines den Hals brechen, statt des Zuges den Himmel versäumen und statt Pleite zu machen, hätte man seinen Seelenfrieden verlieren können, [...].

 

번역을 바로잡았다.

 

Himmel = 여기서는, 천당

 

아래 용례를 볼 것:

 

• 출처: Hermann Viedebantt, Blicke in die Offenbarung St. Johannis des Theologen oder in die Geheimnisse des Herzens und des Himmels, Berlin, 1862, 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엘 해링톤, 뉘른베르크의 사형 집행인, 이지안 옮김 옮김, 마르코폴로, 2023(10).

 

1617 1113[...] 사형 행렬이 지나갈 시내 중심부터 [...] 뉘른베르크의 명물인 소시지, 자우어크라우트, 소금에 절인 청어 등을 내다 팔 준비를 마쳤고 [...] 거리 곳곳에 땅콩과 소시지 굽는 냄새 사이로 토사물의 톡 쏘는 냄새와 지린내가 진동했다.(8)

 

1617 1113[...] 사형 행렬이 지나갈 시내 중심부터 [...] 뉘른베르크의 명물인 소시지, 자우어크라우트, 소금에 절인 청어 등을 내다 팔 준비를 마쳤고 [...] 거리 곳곳에 소시지 굽는 냄새 사이로 토사물의 톡 쏘는 냄새와 지린내가 진동했다.

 

영어 원문: [...] Pungent wafts of vomit and urine mix with the fragrant smoke from grilling sausages and roasting chestnuts.

 

번역을 바로잡았다.

 

chestnut =

 

땅콩 = peanut

 

 

참고할 것: 땅콩이 유럽에 전해진 것은 18세기 말.

 

http://geb.uni-giessen.de/geb/volltexte/2000/320/original/erdnuss.htm#TopOfPag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