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반면에 마가 언어의 독자성은 셈어의 영향력을 가리키지 않고, 오히려 대중문학의 언어 스타일과 문학적으로 코이네에 해당한다.(383)

 

반면에 마가의 모국어는 그리스어였다. 마가 언어의 독자성은 셈어의 영향력을 가리키지 않고, 오히려 대중문학의 언어 스타일과 문학적으로 코이네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독일어 원문: Andererseits war die Muttersprache des Markus Griechisch, denn die Eigenheiten der markinischen Sprache weisen nicht auf semitischen Spracheinfluss hin, sondern entsprechen dem Sprachstil der Volksliteratur und der literarischen Koine.

 

빠진 문장을 보완하고, 번역을 바로잡았다.

 

war die Muttersprache des Markus Griechisch

 

= 마가의 모국어는 그리스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그러나 이 전승의 역사적 신빙성은 아직 결정할 수 없다. 마가복음 배후에 베드로 전승을 주장할 수도 없고, 베드로가 마가복음에서 전승의 기준(Vorgabe) 뛰어넘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383)

 

그러나 이 전승의 역사적 신빙성은 아직 결정할 수 없다. 마가복음 배후에 베드로 신학을 주장할 수도 없고, 베드로가 마가복음에서 전승의 주장(Vorgabe) 뛰어넘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독일어 원문: Über die historische Glaubwürdigkeit dieser Tradition ist damit aber noch nicht entschieden, denn weder lässt sich hinter dem Markusevangelium petrinische Theologie feststellen, noch spielt Petrus eine über die Vorgaben der Tradition hinausgehende Rolle im Markusevangelium.

 

번역을 바로잡았다.

 

denn weder A noch B

 

= AB도 아니기 때문이다

 

A = lässt sich hinter dem Markusevangelium petrinische Theologie feststellen

 

= 마가복음 뒤에서 베드로 신학이 확정된다

 

B = spielt Petrus eine über die Vorgaben der Tradition hinausgehende Rolle im Markusevangelium

 

= 베드로가 마가복음에서 전승의 주장들을 넘어서는 역할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파피아스는 이 전승을 장로 요한에게 소급시켰고, 이 전승은 사도의 여러 전승에 대해 질문한 장로의 제자들에 의해 전해졌다.(유세비우스, HE 39)(382)

 

파피아스는 이 전승을 장로 요한에게 소급시켰고, 이 전승은 사도의 여러 전승에 대해 질문한 파피아스에게 장로의 제자들에 의해 전해졌다.(유세비우스, HE 39, 4)

 

독일어 원문: Papias führt diese Tradition auf den Presbyter Johannes zurück, überliefert wurde sie ihm von Presbyterschülern, die er nach den Überlieferungen der Apostel befragte (vgl. Euseb, HE III 39, 4).

 

• 출전과 번역을 바로잡았다.


überliefert wurde sie[=die Tradition] ihm[=Papias] von Presbyterschülern

 

= 이 전승은 장로의 제자들에 의해 파피아스에게 전해졌다

 

die[=Presbyterschüler] er[==Papias] nach den Überlieferungen der Apostel befragte

 

= 장로의 제자들에게 파피아스는 사도들의 전승들에 대해 물었다

 


참고 사이트:

 

https://bkv.unifr.ch/de/works/cpg-3495/versions/kirchengeschichte-bkv-2/divisions/83

 

https://bkv.unifr.ch/de/works/cpg-3495/compare/kirchengeschichte-bkv-2/83/the-church-history-of-eusebius

 

https://de.wikipedia.org/wiki/Papias_von_Hierapolis#cite_ref-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두 자료설의 틀에서 가장 오래된 전승 줄기인 마가와 Q는 토라가 어떤 중요한 역할도 수행하지 않는 예수상을 보여준다.(마가와 로기온 자료에는 νόμος가 나오지 않는다. 참조. 오직 Q 16:17)(378)

 

두 자료설의 틀에서 가장 오래된 전승 줄기인 마가와 Q는 토라가 어떤 중요한 역할도 수행하지 않는 예수상을 보여준다.(마가에는 νόμος가 나오지 않는다. 로기온 자료의 경우는 참조. 오직 Q 16:17)

 

독일어 원문: Es fällt auf, dass Markus und Q als lteste Überlieferungsstränge im Rahmen der Zweiquellentheorie ein Jesusbild entwerfen, in dem die Tora keine wesentliche Rolle spielt (νόμος fehlt bei Markus, für die Logienquelle vgl. lediglich Q 16, 17).

 

번역을 바로잡았다.

 

νόμος fehlt bei Markus, für die Logienquelle vgl. lediglich Q 16, 17

 

= νόμος가 마가에는 없다, 로기온 자료의 경우 비교하라, 다만 Q 16:17.

 

 

아래, 로기온 자료를 볼 것:

 

The critical edition of Q : synopsis including the Gospels of Matthew and Luke, Mark and Thomas with English, German, and French translations of Q and Thomas, 2000, 468.

 

참고 사이트:

 

https://de.wikipedia.org/wiki/Logienquelle_Q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기존 수집록은 광범위한 편집을 거쳤으므로(뤼어만) 편집사 분석이 결정적으로 중요한가?(375)

 

기존 수집록은 광범위한 편집을 거쳤으므로(뤼어만) 편집층 분석이 결정적으로 중요한가?

 

독일어 원문: Wurden bereits bestehende Sammlungen einer umfangreichen Redaktion unterzogen (D. Lührmann), so dass der Analyse der Redaktionsschichten entscheidende Bedeutung zukommt?

 

번역을 바로잡았다.

 

Redaktionsschicht = 편집층

 

• 편집사’ = Redaktionsgeschicht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