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테판 츠바이크, 어제의 세계, 곽복록 옮김, 지식공작소, 2014(개정판).

 

단 하나의 문구설사 승리가 우리의 것이 된다 하더라도가 검열의 희생이 되었다. 왜냐하면 독일이 세계대전에서 승리할 것이라는 데 대해서는 어떠한 의심도 당시에는 용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301)

 

단 하나의 문구설사 승리가 누구의 것이 된다 하더라도가 검열의 희생이 되었다. 왜냐하면 독일이 세계대전에서 승리할 것이라는 데 대해서는 어떠한 의심도 당시에는 용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독일어 원문: Nur ein einziger Satz – ›wem auch immer der Sieg zufallen möge‹ – fiel der Zensur zum Opfer, weil auch der leiseste Zweifel daran, daß Deutschland als selbstverständlicher Sieger aus diesem Weltkrieg hervorgehen werde, damals nicht gestattet war.

 

번역을 바로잡았다.

 

wem auch immer der Sieg zufallen möge

 

= 누구에게 또한 언제나 승리가 주어지든 간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나님을 사랑한 사상가 10인
알리스터 맥그래스 지음, 신재구 옮김 / IVP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정할 곳: 멜랑크톤 > 멜란히톤(104쪽) 외
https://blog.aladin.co.kr/livrebuch/1555039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리스터 맥그래스, 하나님을 사랑한 사상가 10, 신재구 옮김, IVP, 2021(개정판).

 

114

 

왈터 로웨니히Walther von Loewenich마르틴 루터: 생애와 작품The Man and His Work

 

발터 뢰베니히Walther von Loewenich마르틴 루터: 생애와 작품The Man and His Work

 

인명을 바로잡았다.

 

Walther von Loewenich (1903-1992) = 독일 교회사 학자

 

https://de.wikipedia.org/wiki/Walther_von_Loewenich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리스터 맥그래스, 하나님을 사랑한 사상가 10, 신재구 옮김, IVP, 2021(개정판).

 

루터는 계속 강경 자세 일변도로 나갔다. 이러한 사태를 알게 된 독일의 한 우호적인 왕자는 그를 납치해 오도록 계획을 꾸며 아이제나흐 근처의 바르트부르크성으로 피신시켰다.(106)

 

루터는 계속 강경 자세 일변도로 나갔다. 이러한 사태를 알게 된 독일의 한 우호적인 군주는 그를 납치해 오도록 계획을 꾸며 아이제나흐 근처의 바르트부르크성으로 피신시켰다.

 

영어 원문: Luther’s position became increasingly serious. Realizing this, a friendly German prince arranged for him to be ‘kidnapped’, and took him off to the safety of the Wartburg, a castle near Eisenach.


번역을 바로잡았다.

 

prince = 군주 = (작센의 프리드리히 3)

 

참고 사이트:

 

https://de.wikipedia.org/wiki/Friedrich_III._(Sachse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알리스터 맥그래스, 하나님을 사랑한 사상가 10, 신재구 옮김, IVP, 2021(개정판).

 

그 시대의 특유한 발상 한 가지는 사람들에게 라틴어나 희랍어로 이름을 붙여 주면 좀더 고상하게 보이리라는 생각이었다. 그래서 필립 슈바르체르드Philip Schwarzerd 자신을 멜랑크톤’Melanchthon이라고 불렀는데, 직역하면 검은 대지라는 뜻이다. 요한 하우샤인Johann Hauschein집의 등불이란 뜻으로 외콜람파디우스’Oecolampadius라고 고쳐 불렀다.(104)

 

그 시대의 특유한 발상 한 가지는 사람들에게 라틴어나 희랍어로 이름을 붙여 주면 좀더 고상하게 보이리라는 생각이었다. 그래서 필립 슈바르츠에르트Philip Schwarzerd는 자신을 멜란히톤’Melanchthon이라고 불렀는데, 직역하면 검은 대지라는 뜻이다. 요한네스 하우스샤인Johannes Hausschein집의 등불이란 뜻으로 외콜람파디우스’Oecolampadius라고 고쳐 불렀다.

 

영어 원문: One of the conceits of the age was to invent Latin or Greek versions of names, in order to lend them a little more dignity. Thus Philip Schwarzerd called himself ‘Melanchthon’ (literally, ‘black earth’), and Johann Hauschein adopted the name ‘Oecolampadius’ (literally, ‘house light’).

 

인명을 바로잡았다.

 

Schwarzerd = Schwarz + Erd

 

https://ko.wikipedia.org/wiki/%ED%95%84%EB%A6%AC%ED%94%84_%EB%A9%9C%EB%9E%80%ED%9E%88%ED%86%A4

 

 

아래, 독일어 발음사전을 볼 것:

 

Duden Aussprachewörterbuch, 2005, 545.

 

 

저자 맥그래스의 오류:

 

Johann Hauschein Johannes Hausschein

 

https://en.wikipedia.org/wiki/Johannes_Oecolampadiu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