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아우크스부르크는 외부 정치적으로도 온화하고 중도적인 길로부터 신중하게 돌아섰다. 1533년 말 울름 및 뉘른베르크와 특별 동맹을 맺었으며, 15361월에는 포괄적인 정치적인 지원을 약속한 슈말칼덴 동맹(Schmalkaldischen Bund)에 가입했다. 그리고 아우크스부르크는루터와 부처가 성만찬 문제에서 협정을 맺은1536년의 <비텐베르크 협약>(Wittenberger Konkordie)을 지지했다. 이는 매우 의미심장한 사건이었다. 이로써 아우크스부르크는 외부에도 개신교 도시로 알려지게 되었다.(49)

 

아우크스부르크는 외부 정치적으로도 온화하고 중도적인 길로부터 신중하게 돌아섰다. 1533년 말 울름 및 뉘른베르크와 특별 동맹을 맺었으며, 15361월에는 포괄적인 정치적인 지원을 약속한 슈말칼덴 동맹(Schmalkaldischer Bund)에 가입했다. 그리고 곧바로 아우크스부르크는루터와 부처가 성만찬 문제에서 협정을 맺은1536년의 <비텐베르크 협약>(Wittenberger Konkordie)에 참여했다. 이로써 아우크스부르크는 외적으로는 신조(信條)의 일치를 이루는 도시로 알려지게 되었다.

 

독일어 원문: Behutsam kehrte man auch außenpolitisch vom „milden und mittleren Weg‟ ab: Nach einem Sonderbündnis mit Ulm und Nürnberg Ende 1533 kam im Januar 1536 der Beitritt zum Schmalkaldischen Bund, der erweiterte politische Rückendeckung versprach. Zeitnah war Augsburg der Wittenberger Konkordie von 1536 dem Abendmahlskompromiss zwischen Luther und Bucer beigetreten. Somit galt Augsburg nach außen hin als bekenntniskonform.

 

zeitnah = umgehend = 곧바로

 

nach außen hin = 밖으로, 외적으로

 

bekenntniskonform = 신조가 일치된

 

삭제할 것: ‘이는 매우 의미심장한 사건이었다.’

 

표제어는 주격(主格)으로 쓸 것: Schmalkaldischer Bund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45:

 

안트베르펜에 있는 아름다운 예술 박물관 뒤쪽에 있는 빌헬름 폰 오라니엔빌립 마르닉스 폰 상 알레곤데의 기념비

 

안트베르펜 왕립미술관 뒤쪽에 있는 빌럼 판 오라녜필립스 판 마르닉스의 기념비

 

독일어 원문: Das Denkmal von Wilhelm von Oranien und Philipp Marnix von St. Aldegonde an der Rückseite des Museums der Schönen Künste in Antwerpen

 

Museum der Schönen Künste = 미술관

 

이 미술관의 정식 명칭:

 

Koninklijk Museum voor Schone Kunsten Antwerpen

 

Wilhelm von Oranien = Willem van Oranje = 빌럼 판 오라녜

 

Philipp Marnix von St. Aldegonde = Philips van Marnix = 필립스 판 마르닉스

 

 

 

안트베르펜 왕립미술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그들 중에는 미델부르크(Middelburg)에서 돌아온 판 데어 하이덴도 있었다.(44)

 

그들 중에는 미델뷔르흐(Middelburg)에서 돌아온 판 데어 하이덴도 있었다.

 

독일어 원문: Zu ihnen zählte auch Gaspar van der Heyden, der von Middelburg nach Antwerpen kam.

 

Middelburg = 미델뷔르흐 = 네덜란드 제일란트(Zeeland) 주의 주도(州都)

 

지명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실제로 성상파괴는 칼뱅주의 교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92일에 총독에 의해 안트베르펜으로 파송된 빌헬름 폰 오라니엔(Wilhelm von Oranien, 1533-84)은 칼뱅주의 지도부와 교인들에게 그들이 설교를 해도 되는 세 지역을 약속해주었다.(42)

 

실제로 성상파괴는 칼뱅주의 교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92일에 총독에 의해 안트베르펜으로 파송된 빌럼 판 오라녜(Willem van Oranje, 1533-84)은 칼뱅주의 지도부와 교인들에게 그들이 설교를 해도 되는 세 지역을 약속해주었다.

 

독일어 원문: Der Bildersturm wirkte sich in der Tat unmittelbar auf die calvinistische Kirche aus. Am 2. September konnte Wilhelm von Oranien (1533-1584 ), der von der Statthalterin nach Antwerpen geschickt worden war, ein Abkommen mit der calvinistischen Führung schließen, die den Calvinisten drei Orte zusprach, an denen sie predigen durften.

 

Wilhelm von Oranien = Willem van Oranje = 빌럼 판 오라녜

 

인명을 바로잡았다.

 

 

Willem van Oranj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하엘 벨커 외,종교개혁, 유럽의 역사를 바꾸다, 김재진 외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17(10).

 

특히 기적의 해혹은 아누스 미라빌리스’(annus mirabilis)라 불리는 해에, 15664월부터 15674월까지의 시기에 정치적·종교적 변화를 위한 다양한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15664당시 총독인 마르가레테 폰 파르마(Margarethe von Parma)의 귀족 그룹이 이단을 반박하는 칙령 반포를 취소해달라는 탄원서를 제출했다. 이러한 공격은 칼뱅주의자들의 자의식을 강화시켜 주었다. 신앙으로 인해 망명한 많은 이들이 안트베르펜으로 돌아왔고 15666월 이곳에서 개최된 노회에서는 더 이상 숨어 지내지 않겠다는 결정이 내려졌다.(42)

 

특히 기적의 해혹은 아누스 미라빌리스’(annus mirabilis)라 불리는 해에, 15664월부터 15674월까지의 시기에 정치적·종교적 변화를 위한 다양한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15664당시 총독인 파르마의 마르가레테(Margarethe von Parma)에게 귀족 그룹이 종교재판소의 폐지와 이단 처벌 칙령을 취소해달라는 탄원서를 제출했다. 이러한 기습은 칼뱅주의자들의 자의식을 강화시켜 주었다. 신앙으로 인해 망명한 많은 이들이 안트베르펜으로 돌아왔고 15666월 이곳에서 개최된 노회에서는 더 이상 숨어 지내지 않겠다는 결정이 내려졌다.

 

독일어 원문: Insbesondere das Wunderjahr oder annus mirabilis der Zeitraum von April 1566 bis April 1567 bot vielfältige Möglichkeiten für politische und religiöse Veränderungen. Im April 1566 nämlich legte eine Gruppe Adeliger der damaligen Statthalterin Margarethe von Parma eine Petition vor, in der die Abschaffung der Inquisition und die Aussetzung der Edikte gegen die Ketzerei gefordert wurden. Dieser Vorstoß stärkte das Selbstbewusstsein der Calvinisten. Viele Glaubensflüchtlinge kehrten nach Antwerpen zurück und im Juni 1566 wurde auf einer hier abgehaltenen Synode der calvinistischen Kirchen beschlossen, sich nicht mehr länger zu verstecken.

 

[...] legte eine Gruppe Adeliger der damaligen Statthalterin Margarethe von Parma eine Petition vor, in der A und B gefordert wurden.

 

= 귀족 그룹이 당시 총독인 파르마의 마르가레테(Margarethe von Parma)에게 AB를 요청하는 탄원서를 제출했다

 

A und B

 

= die Abschaffung der Inquisition und die Aussetzung der Edikte gegen die Ketzerei

 

= 종교재판소의 폐지와 이단 처벌 칙령의 취소

 

문장을 바로잡고, 빠진 곳을 보완했다.

 

 

 

파르마의 마르가레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