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401, 각주 269

 

M. Frenchkowski, Offenbarung und Epiphanie I. II, WUNT 2, 79/80, Tübingen 1995, 1997. 

 

M. Frenschkowski, Offenbarung und Epiphanie I. II, WUNT 2, 79/80, Tübingen 1995, 1997.

 

독일어 원문: M. Frenchkowski, Offenbarung und Epiphanie I. II, WUNT 2, 79/80, Tübingen 1995, 1997,

 

저자의 인명 표기 오류를 바로잡았다.


• 938쪽, <인명 찾아보기>를 볼 것.



참고 사이트:

 

https://de.wikipedia.org/wiki/Marco_Frenschkowsk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마가는 이러한 정황을 결코 부정적으로 보지 않는다. 그는 오히려 기적이 요구하는 절대성을 예수의 위격과 관련하여 되돌아보게 한다.(401-402)

 

마가는 이러한 정황을 결코 부정적으로 보지 않는다. 그는 단지 기적이 요구하는 절대성을 예수의 위격과 관련하여 거부한다.

 

독일어 원문: Markus betrachtet diesen Tatbestand keineswegs negativ, er weist lediglich einen Absolutheitsanspruch der Wunder in Bezug auf die Person Jesu zurück.

 

번역을 바로잡았다.

 

lediglich = 다만

 

zurückweisen = 거부하다

 

 

841쪽의 번역을 볼 것:

 

그러나 여기서는 원칙적인 요한의 기적 비판이 드러나지 않고 오히려 예수가 요한복음 2:4에서처럼 기적을 실행하기 위해 표적에 대한 단순한 요구를 거부하고 있다.(참조. 8:11-12, 12:39-42, 16:1-2, 4, 11:16, 29-32의 표적 요구 거부)

 

독일어 원문: Dort artikuliert sich aber keine prinzipielle johanneische Wunderkritik, sondern Jesus weist zunächst nur wie in Joh 2,4 die bloße Forderung nach dem Wunder zurück, um es dann zu vollbringen (vgl. zur Ablehnung der Zeichenforderung Mk 8, 1112; Mt 12, 3942; 16, 12. 4; Lk 11, 16. 293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예수 그리스도의 인식은 마가의 비밀 이론에 기여한다.(400)

 

예수 그리스도의 인식에 마가의 비밀 이론이 기여한다.

 

독일어 원문: Der Erkenntnis Jesu Christi dient die markinische Geheimnistheorie.

 

번역을 바로잡았다.

 

 

A(3격 목적어) dient B(1격 주어)

 

= A에게 B가 기여한다

 


A = der Erkenntnis Jesu Christi

 

= 예수 그리스도의 인식에게

 

B = die markinische Geheimnistheorie

 

= 마가의 비밀 이론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제자들은 예수의 시기와 현재 마가 공동체 사이를 연결하는 중개자이다. 마가는 공동체에게 예수 그리스도가 누구이시며 예수를 따르는 제자도가 무엇인지를 명백하게 밝힌다.(400)

 

제자들은 예수의 시기와 현재 마가 공동체 사이를 연결하는 중개자이다. 마가는 제자들을 소재 삼아 공동체에게 예수 그리스도가 누구이시며 예수를 따르는 제자도가 무엇인지를 명백하게 밝힌다.

 

독일어 원문: Die Jünger sind das Bindeglied zwischen der Zeit Jesu und der gegenwärtigen markinischen Gemeinde. An ihnen verdeutlicht Markus der Gemeinde, wer Jesus Christus ist und was Nachfolge Jesu Christi heißt.

 

빠진 곳을 보완하고, 번역을 바로잡았다.

 

an ihnen[=den Jüngern] verdeutlicht Markus der Gemeinde, A

 

= 제자들을 소재 삼아 마가는 공동체에게 A를 명확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 마가복음 8:31에 나오는 초기 형태의 수난 예고로부터 두 번째와 세 번째 수난 예고를 만들어내고, 세 번째 수난 예고를 복음서 두 번째 부분의 구성적이며 신학적인 뼈대로 만든 사람은 마가였다.(396)

 

[...] 마가복음 8:31에 나오는 초기 형태의 수난 예고로부터 두 번째와 세 번째 수난 예고를 만들어내고, 수난 예고를 복음서 두 번째 부분의 구성적이며 신학적인 뼈대로 만든 사람은 마가였다.

 

독일어 원문: [...] es war Markus, der, von einer Urform der Leidensweissagung in Mk 8,31 ausgehend, die zweite und dritte Leidensweissagung schuf und die drei Leidensweissagungen zum kompositorischen und theologischen Grundgerüst des 2. Hauptteils seines Evangeliums machte.

 

번역을 바로잡았다.

 

die drei Leidensweissagungen

 

= 세 수난 예고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