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 마가복음 8:31에 나오는 초기 형태의 수난 예고로부터 두 번째와 세 번째 수난 예고를 만들어내고, 세 번째 수난 예고를 복음서 두 번째 부분의 구성적이며 신학적인 뼈대로 만든 사람은 마가였다.(396)

 

[...] 마가복음 8:31에 나오는 초기 형태의 수난 예고로부터 두 번째와 세 번째 수난 예고를 만들어내고, 수난 예고를 복음서 두 번째 부분의 구성적이며 신학적인 뼈대로 만든 사람은 마가였다.

 

독일어 원문: [...] es war Markus, der, von einer Urform der Leidensweissagung in Mk 8,31 ausgehend, die zweite und dritte Leidensweissagung schuf und die drei Leidensweissagungen zum kompositorischen und theologischen Grundgerüst des 2. Hauptteils seines Evangeliums machte.

 

번역을 바로잡았다.

 

die drei Leidensweissagungen

 

= 세 수난 예고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395, 각주 240

 

이 책에 따르면 마가는 부재하는 예수에 대한 질문에 지상의 예수로 답변한다. “주님의 부재에 직면하여 그것을 메우기 위해 마가는 부활 이후 자신의 백성과 세상이 예수에게 청종하게 하거나 예수를 대신하게 함으로써 복음서의 구상을 발전시켰다.”

 

이 책에 따르면 마가는 부재하는 예수에 대한 질문에 지상의 예수를 철저하게 가리킴으로 답변한다. “주님의 부재에 직면하여 그것을 메우기 위해 마가는 부활 이후 예수 백성과 세상이 예수에게 청종하게 하고, 예수의 메시지를 생생하게 떠올리도록 예수의 대체물인 복음서라는 구상을 발전시켰다.”

 

독일어 원문: So D. S. du Toit, Der abwesende Herr, wonach Markus die Frage nach dem abwesenden Jesus radikal mit dem Verweis auf den irdischen Jesus beantwortet: „Dazu entwickelte er das Konzept vom Evangelium als Ersatz Jesu, das angesichts der Abwesenheit des Herrn darauf zielt, diese zu kompensieren, indem es nach Ostern dem irdischen Jesus bei den Seinen und in der Welt Gehör verschafft bzw. seine Botschaft vergegenwärtigt“ [...].

 

빠진 문장을 보완하고, 번역을 바로잡았다.

 


radikal mit dem Verweis auf den irdischen Jesus

 

= 철저하게 지상의 예수를 가리킴으로

 

das Konzept vom Evangelium als Ersatz Jesu

 

= 예수의 대체물인 복음서라는 구상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마가복음의 구성은 복음서 기자의 신학적 의지를 간접적으로 표현한다.(392)

 

마가복음의 구성은 복음서 기자의 신학적 의지를 직접적으로 표현한다.

 

독일어 원문: Der Aufbau des Markusevangeliums ist unmittelbarer Ausdruck des theologischen Gestaltungswillens des Evangelisten.

 

번역을 바로잡았다.

 

unmittelbar = 직접적

 

간접적’ = mittelba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반면에 마가 언어의 독자성은 셈어의 영향력을 가리키지 않고, 오히려 대중문학의 언어 스타일과 문학적으로 코이네에 해당한다.(383)

 

반면에 마가의 모국어는 그리스어였다. 마가 언어의 독자성은 셈어의 영향력을 가리키지 않고, 오히려 대중문학의 언어 스타일과 문학적으로 코이네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독일어 원문: Andererseits war die Muttersprache des Markus Griechisch, denn die Eigenheiten der markinischen Sprache weisen nicht auf semitischen Spracheinfluss hin, sondern entsprechen dem Sprachstil der Volksliteratur und der literarischen Koine.

 

빠진 문장을 보완하고, 번역을 바로잡았다.

 

war die Muttersprache des Markus Griechisch

 

= 마가의 모국어는 그리스어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그러나 이 전승의 역사적 신빙성은 아직 결정할 수 없다. 마가복음 배후에 베드로 전승을 주장할 수도 없고, 베드로가 마가복음에서 전승의 기준(Vorgabe) 뛰어넘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383)

 

그러나 이 전승의 역사적 신빙성은 아직 결정할 수 없다. 마가복음 배후에 베드로 신학을 주장할 수도 없고, 베드로가 마가복음에서 전승의 주장(Vorgabe) 뛰어넘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독일어 원문: Über die historische Glaubwürdigkeit dieser Tradition ist damit aber noch nicht entschieden, denn weder lässt sich hinter dem Markusevangelium petrinische Theologie feststellen, noch spielt Petrus eine über die Vorgaben der Tradition hinausgehende Rolle im Markusevangelium.

 

번역을 바로잡았다.

 

denn weder A noch B

 

= AB도 아니기 때문이다

 

A = lässt sich hinter dem Markusevangelium petrinische Theologie feststellen

 

= 마가복음 뒤에서 베드로 신학이 확정된다

 

B = spielt Petrus eine über die Vorgaben der Tradition hinausgehende Rolle im Markusevangelium

 

= 베드로가 마가복음에서 전승의 주장들을 넘어서는 역할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