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전반적으로 사도행전의 내러티브적[마르게라트(D. Marguerat)]이고 문화사적/종교사적인 분석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505-506)

 

전반적으로 사도행전의 내러티브적[마르그라(D. Marguerat)]이고 문화사적/종교사적인 분석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독일어 원문: Insgesamt gewinnt die narrative (D. Marguerat) und kultur-/religionsgeschichtliche Analyse der Apostelgeschichte immer mehr an Bedeutung.

 

인명을 바로잡았다.

 

Daniel Marguerat = 다니엘 마르그라

 

https://fr.wikipedia.org/wiki/Daniel_Marguerat

 

https://www.howtopronounce.com/french/marguerat

 

 

참고 자료:

 

다니엘 마르그라, 역사 비평과 설화 비평에서 본 예수의 기적, 곽진상 옮김, <가톨릭신학>, 32, 2018, 207-239.

 

다니엘 마르그라·이방 부르캥, 성경 읽는 재미: 설화분석 입문, 염철호·박병규 옮김, 바오로딸, 20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505, 각주 77

 

바레트는 누가복음에서 바울의 직접적인 동행인을 보지는 않으나, 선교여행에 참여한 그룹으로부터 나온 우리-자료와 다른 전승들을 고려한다.(C. K. Barrett, Acts II, XXVIIIf.)

 

바레트는 누가를 바울의 직접적인 동행인으로 보지는 않으나, 선교여행에 참여한 그룹으로부터 나온 우리-자료와 다른 전승들을 고려한다.(C. K. Barrett, Acts II, XXVIIIf.)

 

독일어 원문: C. K. Barrett, Acts II, XXVIII f, sieht in Lukas zwar keinen unmittelbaren Paulusbegleiter, rechnet aber mit einer Wir-Quelle und anderen Traditionen aus dem Kreis der Teilnehmer der Missionsreisen.

 

번역을 바로잡았다.

 

 

아래 452쪽과 465쪽의 번역을 볼 것:

 

누가를 바울의 동역자로 볼 때

 

wenn man in Lukas einen Paulusbegleiter sieht.

 

부스만은 이 특수자료의 기록자를 의사이자 바울의 여행 동행인인 누가라고 생각한다.

 

Bussmann sah in Lukas, dem Arzt und Reisebegleiter des Paulus, den Verfasser dieser Sonderquell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베너르트는 헬라적 문필가인 누가를 향한 집중이 긴급하게 종교적 인간(Homo religiosus)인 누가 쪽으로, 더욱 좁혀서는 헬라적 유대교에 대한 그의 종교적인(결과적으로 문학적인) 관계로 확대되어야 할 것을 요구한다.”라고 주장한다.(505)

 

베너르트는 헬라적 문필가인 누가를 향한 집중이 긴급하게 종교적 인간(Homo religiosus)인 누가 쪽으로, 더욱 좁혀서는 헬라적 유대교에 대한 그의 종교적인(결과적으로 문학적인) 관계로 확대되어야 한다.”라고 주장한다.

 

독일어 원문: Allerdings fordert J. Wehnert, die Konzentration auf den ‚hellenistischen Schriftsteller‘ Lukas sei „dringend zu erweitern in Richtung auf den Homo religiosus Lukas, näherhin auf dessen religiöse (und infolgedessen auch literarische) Beziehung zum hell. Judentum.“

 

문장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특히 최근의 역사 이론적 논쟁은 누가가 어떤 주도적인 사상 아래에서 수많은 전승을 다룸으로써 다른 고대 역사가처럼 연구했음을 드러낸다. 하나님이 역사를 인도하며 스스로 이방 교회의 생성을 초래한다는 것이다.(505)

 

특히 최근의 역사 이론적 논쟁은 누가가 어떤 주도적인 사상 아래에서 수많은 전승을 다룸으로써 다른 고대 역사가처럼 연구했음을 드러낸다.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역사를 인도하며 스스로 이방인 그리스도교 교회의 생성을 초래한다는 것이다.

 

독일어 원문: Zumal die neuere geschichtstheoretische Debatte zeigt, dass Lukas ebenso wie andere antike Historiker arbeitete, indem er zahlreiche Traditionen unter einem Leitgedanken repräsentierte: Der Gott Israels lenkt die Geschichte und bewirkt selbst die Entstehung der heidenchristlichen Kirche.

 

빠진 단어를 보완해, 번역을 바로잡았다.

 

heidenchristlich = 이방인 그리스도교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결코 바울이 열두 제자에 비해 강등되어서는 안 되는데, 부활하신 주님이 그를 부르셨기 때문이다.(참조. 22:15, 26:16)(504)

 

결코 바울이 열두 제자에 비해 강등되어서는 안 되는데, 부활하신 주님이 그를 ‘13번째 증인으로 부르셨기 때문이다.(참조. 22:15, 26:16)

 

독일어 원문: Keineswegs soll Paulus gegenüber den Zwölfen degradiert werden, sondern er ist der vom erhöhten Herrn selbst berufene ‚13. Zeuge‘ (vgl. Apg 22, 15; 26, 16).

 

번역을 바로잡았다.

 

der vom erhöhten Herrn selbst berufene ‚13. Zeuge‘

 

= 승귀한 주님에 의해 직접 부름을 받은 ‘13번째 증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