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450, 각주 407

 

참조. G. Schneider, Lk I, 32f; W. Wiefel, Lk, 4; F. Bovon, Lk I, 2224; E. Schweizer, Lk, 4. 저자 문제는 열려 있다. 피츠마이어는 누가가 의사이며 바울 선교를 직접 목격한 증인(16:10ff.)으로 본다.(J. A. Fitzmyer, Lk I, 53.) M. Hengel, Geschichtsschreibung (2.1을 보라.), 60; ders., Lukasprolog, 215ff.(누가는 열두 사도의 보도를 직접 목격한 의사요 바울의 동역자이다.); C. J. Thornton, Der Zeuge des Zeugen(아래 4.1을 보라.), 341; J. Jervell, Apg(아래 4.1을 보라.), 63.

 

참조. 이 의미에서 G. Schneider, Lk I, 32f; W. Wiefel, Lk, 4; F. Bovon, Lk I, 2224; E. Schweizer, Lk, 4. 피츠마이어는 저자 문제에 열려 있다.(J. A. Fitzmyer, Lk I, 53.) 반대로 다음 세 사람은 누가가 의사이며 바울 선교를 직접 목격한 증인(16:10ff.)으로 본다. M. Hengel, Geschichtsschreibung (2.1을 보라.), 60; ders., Lukasprolog, 215ff.(누가는 열두 사도의 보도를 직접 목격한 의사요 바울의 동역자이다.); C. J. Thornton, Der Zeuge des Zeugen(아래 4.1을 보라.), 341 ; J. Jervell, Apg(아래 4.1을 보라.), 63.

 

독일어 원문: Vgl. in diesem Sinn G. Schneider, Lk I, 32f; W. Wiefel, Lk, 4; F. Bovon, Lk I, 2224; E. Schweizer, Lk, 4. Offen lässt die Verfasserfrage J. A. Fitzmyer, Lk I, 53. Für den Arzt und Augenzeugen der paulinischen Mission Lukas plädieren hingegen (ab Apg 16, 10ff) M. Hengel, Geschichtsschreibung (s. o. 2.1), 60; ders., Lukasprolog, 215ff (der Arzt und Paulusbegleiter Lukas, der sich auf Berichte der zwölf Apostel als Augenzeugen stützt); C. J. Thornton, Der Zeuge des Zeugen (s. u. 4.1), 341 u. ö.; J. Jervell, Apg (s. u. 4.1), 63.

 

빠진 곳을 보완하고, 번역을 바로잡았다.

 

Vgl. in diesem Sinn G. Schneider, Lk I, 32f; W. Wiefel, Lk, 4; F. Bovon, Lk I, 2224; E. Schweizer, Lk, 4.

 

= 비교하라, 이 의미에서 G. Schneider, Lk I, 32f; W. Wiefel, Lk, 4; F. Bovon, Lk I, 2224; E. Schweizer, Lk, 4.

 

Offen lässt die Verfasserfrage J. A. Fitzmyer, Lk I, 53.

 

= 프리츠마이어는 저자 문제를 열어 둔다

 

Für den Arzt und Augenzeugen der paulinischen Mission Lukas plädieren hingegen

 

= 반면에 (Hengel, Thornton, Jervell) 의사이자 바울 선교의 목격자 누가를 지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이 주장에 따르면 로마에서 기록된 디모데후서(참조. 딤후 1:17)는 사도행전이 끝나는 바로 그곳에서 시작한다.(참조. 28:30-31)

 

자체 주장에 따르면 로마에서 기록된 디모데후서(참조. 딤후 1:17)는 사도행전이 끝나는 바로 그곳에서 시작한다.

 

독일어 원문: Der seinem Selbstanspruch nach in Rom entstandene 2Tim (vgl. 2Tim 1, 17) setzt nun genau dort ein, wo die Apg endet (vgl. Apg 28, 30f).

 

번역을 바로잡았다.

 

der seinem Selbstanspruch nach in Rom entstandene 2Tim

 

= 디모데후서의 자기 주장에 따르면 로마에서 생겨난 디모데후서는

 

 

디모데후서 1:17을 볼 것:

 

로마에 있을 때에 나를 부지런히 찾아와 만났음이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사도행전의 두 번째 부분에서 복음서 저자가 바울이 로마에 투옥되기까지의 생애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을 갖추고 있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450)

 

사도행전의 두 번째 부분에서 사도행전 저자가 바울이 로마에 투옥되기까지의 생애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을 갖추고 있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독일어 원문: Aus dem 2. Teil der Apostelgeschichte geht deutlich hervor, dass ihr Verfasser über umfangreiche Kenntnisse des Lebens Pauli bis hin zu seiner Gefangenschaft in Rom verfügte.

 

번역을 바로잡았다.

 

ihr Verfasser = der Verfasser der Apostelgeschichte

 

= 사도행전의 저자

 

복음서 저자’ = sein Verfasser

 

= der Verfasser des Evangeliums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마태는 유대교 내부 담론 안에 위치하며, 거기서 선교명령의 보편주의는 이스라엘 선교의 실패 때문이 아니라 오히려 아브라함의 자녀됨의 모티브와 모든 민족을 위하여 아브라함에게 주어진 축복의 약속을 수용하고 실행하는 것 때문이다.”(442-443)

 

마태는 유대교 내부 담론 안에 위치하며, 거기서 선교명령의 보편주의는 이스라엘 선교의 실패 때문이 아니라 오히려 아브라함의 자녀됨과 모든 민족을 위하여 아브라함에게 주어진 축복의 약속이라는 모티브를 수용하고 실행하는 것 때문이다.”

 

독일어 원문: [...], dass Matthäus in einem innerjüdischen Diskurs steht und der Universalismus des Missionsbefehls nicht durch ein Scheitern der Israelmission bedingt ist, „sondern in Aufnahme und Ausführung des Motivs der Abrahamskindschaft und der Segensverheißung an Abraham für alle Völker.“

 

번역을 바로잡았다.

 

des Motivs der Abrahamskindschaft und der Segensverheißung an Abraham für alle Völker

 

= 아브라함의 자손됨과 모든 민족들을 위한 아브라함에게 준 복의 언약이라는 모티브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 성서에 나오는 그의 선임자들처럼 마태는 자신이 설명하는 역사가 하나님에 의해 형성되었고 온전한 목적에 따라 인도된다고 굳게 확신했으며, 역사의 흥망성쇠 가운데 일하는 하나님의 영속적이고 항구적인 행동을 믿었다.”(442)

 

“[...] 성서에 나오는 그의 선임자들처럼 마태는 자신이 설명하는 역사가 하나님에 의해 형성되었고 온전한 목적에 따라 인도된다고 굳게 확신했으며, 선임자들과 더불어 역사의 흥망성쇠 가운데 일하는 하나님의 영속적이고 항구적인 행동을 믿었다.”

 

독일어 원문: „[...] Wie seine biblischen Vorgänger ist er fest davon überzeugt, dass die von ihm erzählte Geschichte durch Gott gestaltet und zielvoll gelenkt wird, mit ihnen glaubt er an ein beständiges und stetiges Handeln Gottes im Auf und Ab der Geschichte.“

 

누락 보완

 

mit ihnen[=den Vorgängern] glaubt er

 

= 선행자들과 더불어 그는 믿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