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455, 각주 420

 

G. Theißen, Lokalkolorit(3.1.1을 보라.), 267.270(누가가 바라보고 있는 지역은 팔레스타인의 서쪽이다.)

 

G. Theißen, Lokalkolorit(3.1.1을 보라.), 267.270(누가는 위치상 서쪽으로부터 팔레스타인을 바라본다.)

 

독일어 원문: G. Theißen, Lokalkolorit (s. o. 3.1.1), 267.270 (Lukas blickt aus einer Lokalperspektive von Westen her auf Palästina)

 

번역을 바로잡았다.

 

Lukas blickt aus einer Lokalperspektive von Westen her auf Palästina

 

= 누가는 위치 관점에서 서쪽으로부터 팔레스타인을 바라본다

 

 

아래, 저자의 적시 문헌을 참고할 것:

 

Gerd Theißen, Lokalkolorit und Zeitgeschichte in den Evangelien : ein Beitrag zur Geschichte der synoptischen traditional, 1989, 27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455, 각주 415

 

다른 견해로는 A. Mittelstaedt, Lukas als Historiker. Zur Datierung des lukanischen Doppelwerkes, TANZ 43, Tübingen 2006, 254를 참조하라. 미텔슈태트에 따르면 사도행전은 어쨌든 기원후 64년 이전에, 오히려 62년 이전에 완성되었고, 복음서를 위한 자료는 매우 이른 시기인 57-59년에 가이사랴에서 수집되었다.”

 

다른 견해로는 A. Mittelstaedt, Lukas als Historiker. Zur Datierung des lukanischen Doppelwerkes, TANZ 43, Tübingen 2006, 254를 참조하라. 미텔슈테트에 따르면 사도행전은 어쨌든 기원후 64년 이전에, 이르면 62년에 완성되었고, 복음서를 위한 자료는 매우 이른 시기인 57-59년에 가이사랴에서 수집되었다.”

 

독일어 원문: Anders A. Mittelstaedt, Lukas als Historiker. Zur Datierung des lukanischen Doppelwerkes, TANZ 43, Tübingen 2006, 254, wonach „die Apg in jedem Fall vor 64, eher noch 62 vollendet wurde und das Material für das Evangelium am ehesten 5759 in Caesarea gesammelt worden ist.“

 

인명과 번역을 바로잡았다.

 

Mittelstaedt = Mittelstädt

 

ae = ä = [ɛ] =

 

 

아래, 발음사전을 참고할 것:

 

Duden Aussprachewörterbuch, 2005, 74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454, 각주 414

 

I. Broer, Einleitung I, 131(유대 그리스도인보다는 이방인이다.)

 

I. Broer, Einleitung, 142(유대 그리스도인보다는 이방인이다.)

 

독일어 원문: I. Broer, Einleitung, 142 (eher ein Heiden als ein Judenchrist);

 

 

454, 각주 415

 

I. Broer, Einleitung I, 136f.(80100사이)

 

I. Broer, Einleitung, 144.(80100사이)

 

독일어 원문: I. Broer, Einleitung, 144 (zwischen 80100)

 

 

출전(出典)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누가는 예수의 제자들과 최초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소유 포기를 모범으로 삼았다.(459)

 

누가는 예수 제자들의 소유 포기와 예루살렘의 최초 공동체를 모범으로 삼았다.

 

독일어 원문: Dabei dienen Lukas der Besitzverzicht der Jnger Jesu und die Jerusalemer Urgemeinde als Vorbilder; [...].

 

번역을 바로잡았다.

 

dabei dienen Lukas A und B als Vorbilder

 

= 이때 누가에게 AB가 모범들로 이용된다

 

 

A = der Besitzverzicht der Jünger Jesu

 

= 예수 제자들의 소유 포기

 

B = die Jerusalemer Urgemeinde

 

= 예루살렘의 최초 공동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최초 그리스도교 1세대와 2세대의 임박한 파루시아 기대는 누가와 그의 공동체가 파루시아 시간의 연장을 요청하면서 문제가 되었다.(457)

 

최초 그리스도교 1세대와 2세대의 임박한 파루시아 기대는 누가와 그의 공동체에게 파루시아 시간이 예기치 않게 지연되면서 문제가 되었다.

 

독일어 원문: Die Problematisierung der unmittelbaren Parusienaherwartung der ersten und zweiten urchristlichen Generation ergibt sich für Lukas und seine Gemeinde folgerichtig aus der eingetretenen Dehnung der Zeit.

 

번역을 바로잡았다.

 

A ergibt sich aus B

 

= AB에서 발생한다

 

A = die Problematisierung der unmittelbaren Parusienaherwartung der ersten und zweiten urchristlichen Generation

 

= 첫 번째와 두 번째 최초 기독교 세대의 직접적인 파루시아 임박 기대의 문제화는

 

B = der eingetretenen Dehnung der Zeit

 

= 시간의 뜻하지 않은 지연에서

 

für Lukas und seine Gemeinde folgerichtig

 

= 누가와 그 공동체에게 결과적으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