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훗날 수행한 선교여행과는 달리 여기서 바울은 단지 그의 선교 동역자인 바나바의 수행원이며 안디옥 교회의 선교사이다.(참조. 특히 행 14:12)

 

훗날 수행한 선교여행과는 달리 여기서 바울은 단지 안디옥 교회의 선교사로 그의 선교 동역자인 바나바에게 종속된 수행원이다.

 

독일어 원문: Anders als auf den späteren Missionsreisen erscheint Paulus hier lediglich als ein antiochenischer Gemeindemissionar, der seinem Begleiter Barnabas noch untergeordnet ist (vgl. bes. Apg 14, 12).

 

번역을 바로잡았다.

 

erscheint Paulus hier lediglich als ein antiochenischer Gemeindemissionar, der seinem Begleiter Barnabas noch untergeordnet ist

 

= 바울은 여기에서 단지 자기 동행자 바나바에게 종속된 안디옥 공동체 선교사로 보인다

 

 

사도행전 14:12을 볼 것:

 

바나바는 제우스라 하고 바울은 그 중에 말하는 자이므로 헤르메스라 하더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55, 각주 35

 

아울러 그는 기원후 40년경에 예루살렘에서 개최된 사도회의(11:27-30, 12:25/2:1-10) 47년 가을의 사도회의(15:1-35)를 구분한다. [...] 안디옥 사건은 [...] ‘사도회의를 위한 여행1차 선교여행 사이, 40년에서 46년 사이에 일어났다.

 

아울러 그는 기원후 40년경에 예루살렘에서 개최된 사도협약(11:27-30, 12:25/2:1-10) 47년 가을의 사도회의(15:1-35)를 구분한다. [...] 안디옥 사건은 [...] ‘사도협약 위한 여행1차 선교여행 사이, 40년에서 46년 사이에 일어났다.

 

독일어 원문: So wird [...] zwischen dem um 40 n. Chr. in Jerusalem stattgefundenen Apostelkonvent (Apg 11,2730; 12,25/Gal 2,110) und dem Apostelkonzil (Apg 15,135) im Herbst 47 n. Chr. unterschieden. Der antiochenische Zwischenfall [...] fand zwischen der ‚Konventsreise‘ und der 1. Missionsreise, also zwischen 40 und 46 n. Chr. statt [...].

 

번역을 바로잡았다.

 

여기 각주에서는, 두 단어의 차이에 주의할 것:

 

Apostelkonvent = 사도협약 = 11:27-30, 2:1-10

 

Apostelkonzil = 사도회의 =15:1-3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54, 각주 33

 

스트로벨의 기본적인 증명에 관하여는 A. Strobel, “Der Termin des Todes Jesu, ZNW 51 (1960), 69101을 참조하라.

 

슈트로벨의 기본적인 증명에 관하여는 A. Strobel, “Der Termin des Todes Jesu, ZNW 51 (1960), 69101을 참조하라.

 

독일어 원문: Vgl. den grundlegenden Nachweis von A. Strobel, Der Termin des Todes Jesu, ZNW 51 (1960), 69101.

 

인명과 따옴표 위치를 바로잡았다.

 

참고 사이트:

 

https://de.wikipedia.org/wiki/August_Strobe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1) 점성학적 예측뿐만 아니라 예수 사망 시점에 대한 전통은 예수의 죽음이 30년 니산월 14일 금요일에 이루어졌다고 추측한다.(54)

 

(1) 천문학적 계산뿐만 아니라 전통은 예수의 죽음이 30년 니산월 14일 금요일에 이루어졌다고 추측한다.

 

독일어 원문: 1) Sowohl die astronomischen Berechnungen als auch die Traditionen über das Todesdatum Jesu sprechen für die Annahme, dass der 14. Nisan im Jahr 30 auf einen Freitag fiel.

 

번역을 바로잡았다

 

astronomisch = 천문학적인

 

점성학적인’ = astrologisch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사도행전과 바울서신(protopaulinen: 이것은 진정성을 의심받지 않는 일곱 개의 바울서신을 의미하므로 이후로 바울서신으로 번역함역자 주)(52)

 

사도행전과 바울서신(Protopaulinen: 이것은 진정성을 의심받지 않는 일곱 개의 바울서신을 의미하므로 이후로 바울서신으로 번역함역자 주)

 

독일어 원문: die Apg und die Protopaulinen

 

독일어 단어를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