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67, 각주 58

 

필자의 기억으로는 처음으로 바울의 학파에 관해 언급한 이는 홀츠만이다.[H. J. Holtzmann, Die Pastoralbriefe (아래 5.5.2을 보라.), 117.]

 

필자가 아는 바로는 처음으로 바울의 학파에 관해 언급한 이는 홀츠만이다.[H. J. Holtzmann, Die Pastoralbriefe (아래 5.5.2을 보라.), 117.]

 

독일어 원문: Von einer ‚Paulusschule‘ spricht m. W. erstmals H. J. Holtzmann, Die Pastoralbriefe (s. u. 5.5.2), 117.

 

번역을 바로잡았다.

 

m. W. = meines Wissens


= 내가 아는 바로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사도행전 18:18-23에 묘사된 여행은 기원후 51년 여름부터 52년 초 사이에 이루어졌다. 그 후에 바울은 에베소에서 29개월가량(참조. 19:8, 10, 20:31), 52년 여름부터 55년 초까지 체류한다. 이 기간에 구제금 모금을 위해 마게도냐와 아가야로 여행한다.(60)

 

사도행전 18:18-23에 묘사된 여행은 기원후 51년 여름부터 52년 초 사이에 이루어졌다. 그 후에 바울은 에베소에서 29개월가량(참조. 19:8, 10, 20:31), 52년 여름부터 55년 초까지 체류한다. 이 기간 후 구제금 모금을 위해 마게도냐와 아가야로 여행한다.

 

독일어 원문: Die in Apg 18,1823 beschriebenen Reisen nahmen einen Zeitraum vom Sommer 51 bis zum Frühjahr 52 in Anspruch, danach hielt sich Paulus in Ephesus ca. 2 3/4 Jahre auf (vgl. Apg 19, 8.10; 20, 31), vom Sommer 52 bis zum Frühjahr 55. An den Ephesus-Aufenthalt schloss sich die Kollektenreise durch Makedonien und Achaia an.

 

번역을 바로잡았다.

 

an den Ephesus-Aufenthalt schloss sich die Kollektenreise durch Makedonien und Achaia an

 

= 마케도냐와 아가야를 돌아다니는 모금 여행이 에베소 체류에 잇대어 행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사도행전 20:6에 다르면 바울은 고린도에서 앗소를 지나 밀레도로 가기 위해 빌립보를 뱃길로 간다. 사도는 56년 오순절(참조. 20:16)에 예루살렘에 도착하려고 배편을 이용하여 가이사랴로 계속 여행한다.(61)

 

사도행전 20:6에 다르면 바울은 고린도에서 빌립보로 갔다가, 드로아로 간다. 드로아에서 앗소를 거쳐 밀레도에 이른다. 사도는 56년 오순절(참조. 20:16)에 예루살렘에 도착하려고 배편을 이용하여 가이사랴로 계속 여행한다.

 

독일어 원문: Nach Apg 20, 6 fuhr Paulus von Korinth nach Philippi, dann nach Troas, um von dort über Assos nach Milet zu gelangen. Mit dem Schiff setzte der Apostel seine Reise nach Caesarea fort, um dann zu Pfingsten 56 (vgl. Apg 20, 16) Jerusalem zu erreichen.

 

빠진 도시드로아를 보완하고, 번역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69, 각주 63

 

Klassisch Diog Laert 1, 1315. 18; 2, 47: Sokrates als Vater zahlreicher philosophischer Schulen. Epikur sagt über den Weisen. “그는 학교를 세울 것이지만 대중교육을 위한 것은 아니다. 그는 또한 요청에 따라 공개강의를 제공할 것이다. 그는 확고한 교리를 갖고 지식에 대해 의심하지 않을 것이다.”(Diog Laert 10, 121b).

 

Klassisch Diog Laert 1, 1315.18; 2, 47. 수많은 철학 학파의 아버지인 소크라테스. 에피쿠로스는 이 현자(賢者)에 대해 말한다. “그는 학교를 세울 것이지만 대중교육을 위한 것은 아니다. 그는 또한 요청에 따라 공개강의를 제공할 것이다. 그는 확고한 교리를 갖고 지식에 대해 의심하지 않을 것이다.”(Diog Laert 10, 121b).

 

독일어 원문: Klassisch Diog Laert 1, 1315.18; 2, 47: Sokrates als Vater zahlreicher philosophischer Schulen. Epikur sagt über den Weisen: „Er wird eine Schule gründen, aber nicht für den Massenunterricht; auch wird er auf Bitten öffentliche Vorträge halten. Er wird feste Lehrmeinungen und keine Erkenntniszweifel haben“ (Diog Laert 10, 121b).

 

번역하지 않고 빠뜨린 문장을 번역했다.

 

 

위 인용구의 한국어 번역을 참고할 것:

 

그는 학파도 창시하겠지만 군중을 사로잡기 위해서는 아니다. 대중 앞에서 강연도 할 테지만자진해서 하지는 않는다. 자신의 견해를 분먕하게 말하고 회의주의에 머물러 있지 않을 것이다.”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 2(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서양편 403), 김주일·김인곤·김재홍·이정호 옮김, 나남, 2021, 38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뤼데만은 사도행전에서는 물론 보도하지는 않지만 사도회의 이전에도 바울의 이른 선교 사역이 있었다고 본다.(57-58)

 

뤼데만은 사도행전에서는 물론 보도하지는 않지만 사도회의 이전에도 바울의 이른 유럽 선교 사역이 있었다고 본다.

 

독일어 원문: Nach G. Lüdemann fällt in die Zeit der Mission vor dem Apostelkonvent auch eine frühe Mission des Paulus in Europa, von der die Apg allerdings nicht berichtet.

 

빠진 단어를 보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