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사도의 여행 계획(참조. 고전 16:5-8)에 따르면 저작 연대는 마지막 체류의 해이거나 또는 체류 마지막 직전 해이다.(기원후 55년 봄)(110-111)

 

사도의 여행 계획(참조. 고전 16:5-8)에 따르면 저작 연대는 마지막 체류의 해(기원후 55년 초)이거나 또는 체류 마지막 직전 해이다.

 

독일어 원문: Die Reisepläne des Apostels (vgl. 1 Kor 16, 58) weisen auf das letzte Jahr seines Aufenthaltes als Abfassungsjahr hin (Frühjahr 55 n. Chr.), auch wenn das vorletzte Jahr nicht auszuschliesen ist.

 

해당 연도의 위치를 바로잡았다.

 

 

마지막 체류의 해 = 기원후 55

 

체류 마지막 직전의 해 = 기원후 54



• 65쪽 '바울 사역의 연대기'를 볼 것:


고린도의 마지막 체류   55/56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바울 시대 데살로니가의 정치, 사회, 종교적 상황에 관한 해설은 브로케(Chr. von Brocke)의 연구가 두드러지게 기여하고 있다.(107)

 

바울 시대 데살로니가의 정치, 사회, 종교적 상황에 관한 해설은 브로케(Chr. vom Brocke)의 연구가 두드러지게 기여하고 있다.

 

독일어 원문: Zur Erhellung der politischen, sozialen und religiösen Situation der Stadt Thessalonich [z. Zt.] des Paulus trägt erheblich die Studie von Chr. vom Brocke bei.

 

인명을 바로잡았다.

 

90쪽 참고문헌을 볼 것:

 

Chr. vom Brocke, Thessaloniki Stadt des Kassander und Gemeinde des Paulus, WUNT 2.125, Tübingen 2001.

 

 

참고 자료:

 

Christoph vom Brocke Geboren 1965; 198591 Studium der Ev. Theologie und Klass. Philologie in Göttingen und Münster; 198790 Mitarbeiter am Institut für Neutestamentliche Textforschung in Münster; 199597 Dozent an der Volkshochschule; seit 1998 Pastor in Wittingen-Knesebeck; 1999 Promotion.

 

https://www.mohrsiebeck.com/buch/thessaloniki-stadt-der-kassander-und-gemeinde-des-paulus-9783161574757/?no_cache=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그는 바울과 방랑 철학자들 사이의 공동체 형성 과정에 유사점이 있다고 본다. 그것은 청중의 설득과 개종, 소그룹 형성, 가르침에 대한 훈련, 윤리와 예전의 실천, 방문을 통한 지속적 동행, 사람과 서신의 파송 및 전달 등이다.(107)

 

그는 바울과 방랑 철학자들 사이의 공동체 형성 과정에 유사점이 있다고 본다. 그것은 청중의 설득과 개종, 소그룹 형성, 가르침에 대한 훈련, 윤리와 예전의 실천, 방문과 파송, 편지를 통한 지속적 동행 등이다.

 

독일어 원문: Er weist auf Parallelen im Prozess der Gemeindebildung zwischen Paulus und den Wanderphilosophen hin: Überzeugung bzw. Bekehrung der Zuhörer, Bildung von Kleingruppen, Einübung in Lehre, Ethik und kultische Praxis, anhaltende Begleitung durch Besuche, Abgesandte und Briefe.

 

번역을 바로잡았다.

 

anhaltende Begleitung durch Besuche, Abgesandte und Briefe

 

= 방문들과 파송들, 편지들을 통한 지속적 동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데살로니가는 문화와 종교의 중심지로도 매력적이었으며 사라피스(Sarapis), 이시스(Isis), 디오니소스(Dionysus) 혹은 카비렌(Kabeiroi)Kabiren) 같은 신들을 숭배했음이 발굴 작업과 문학적 증거를 통해 입증되었다.(93)

 

데살로니가는 문화와 종교의 중심지로도 매력적이었으며 사라피스(Sarapis), 이시스(Isis), 디오니소스(Dionysus) 혹은 카베이로이(Kabeiroi: 고대 그리스의 다신 숭배역자 주) 같은 신들을 숭배했음이 발굴 작업과 문헌적 증거를 통해 입증되었다.

 

독일어 원문: Thessalonich besaß auch als ein kulturelles und religiöses Zentrum Anziehungskraft, Ausgrabungen und literarische Zeugnisse belegen die Verehrung von Kultgottheiten wie Sarapis, Isis, Dionysus oder die Kabiren.

 

주엣(R. Jewett)은 사회 하층민 출신의 교회 공동체 구성원 중에서 카비렌(Kabiren: 고대 그리스의 다신 숭배역자 주) 예전을 추종하는 사람이 많았다고 가정한다.(107)

 

주엣(R. Jewett)은 사회 하층민 출신의 교회 공동체 구성원 중에서 카베이로이(Kabeiroi) 숭배를 추종하는 사람이 많았다고 가정한다.

 

독일어 원문: R. Jewett vermutet unter den Gemeindegliedern aus der sozialen Unterschicht viele frühere Anhänger des Kabiren-Kultes.

 

고유명사와 역자 주의 위치 및 용어를 바로잡았다.


 

Kabiren = Κάβειροι = 카베이로이

 

https://de.wikipedia.org/wiki/Kabiren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20608&cid=40942&categoryId=31538

 

 

• literarisch = 여기서는, 문헌적



역자 주는 첫 표제어에 붙일 것.


 

용어 사용에 주의할 것:

 

<표준국어사전> 예전(禮典)

 

기독교하나님의 은혜를 신자들에게 베푸는 의식. 개신교에서는 세례와 성찬 두 가지를 이른다. =새크러먼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죄딩(Th. Söding)은 중간 입장을 취하는데, 한편으로는 데살로니가전서와 뒤따라 기록된 서신의 상대적 연속성을 강조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빌립보서 3장과 갈라디아서가 기본적으로 변하지 않는 신학적인 내용에 대해 새로운 표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고린도전서의 성도들 앞에서는 다른 방식으로 하듯이) 바울 신학의 질적으로 새로운 단계를 나타낸다고 주장한다.(106)

 

죄딩(Th. Söding)은 중간 입장을 취하는데, 한편으로는 데살로니가전서와 뒤따라 기록된 서신의 상대적 연속성을 강조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빌립보서 3장과 갈라디아서가 기본적으로 변하지 않는 신학적인 내용에 대해 새로운 표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빌립보서 3장과 갈라디아서에 앞서 다른 방식으로 고린도전서가 했듯이) 바울 신학의 질적으로 새로운 단계를 나타낸다 주장한다.

 

독일어 원문: Eine Mittelposition nimmt Th. Söding ein, er betont einerseits die relative Kontinuität zwischen dem 1 Thess und den folgenden Briefen, andererseits bieten Phil 3 und der Gal nicht nur neue Ausdrucksformen für eine im Grunde unveränderte theologische Sache. Sie markieren vielmehr (wie in anderer Weise vor ihnen der 1 Kor) eine qualitativ neue Stufe der paulinischen Theologie.

 

인용 부호를 보완하고, 번역을 바로잡았다.

 

wie in anderer Weise vor ihnen[=Phil 3 und dem Gal] der 1 Kor

 

= 빌립보서 3장과 갈라디아서에 앞선 다른 방식의 고린도전서와 같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