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누가는 추상적인 문장의 형태가 아니라 공통점을 인식하도록 유도하는 생생한 장면들을 통해 독자에게 신학적 통찰력을 제공한다.(486)

 

누가는 추상적인 문장의 형태가 아니라 메시지를 인식하도록 유도하는 생생한 장면들을 통해 독자에게 신학적 통찰력을 제공한다.

 

독일어 원문: Lukas bietet theologische Einsichten nicht in der Form abstrakter Sätze dar, sondern vermittelt sie durch lebendige Szenen, die den Leser zur Erkenntnis des Gemeinten führen sollen.

 

번역을 바로잡았다.

 

das Gemeinte = 말한 것, 뜻한 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485, 각주 4

 

참조. G. Schille, Apg, VIIIf. 플뤼마허는 두 단락 구성을 옹호하지만 사도행전 15:33 이후 구절을 생략한다.(E. Plümacher, “Apostelgeschichte, 486.)

 

참조. G. Schille, Apg, VIIIf. 플뤼마허는 두 단락 구성을 옹호하지만 사도행전 15:33 이후 구절을 두 번째 단락으로 본다.(E. Plümacher, Art. “Apostelgeschichte, 486.)

 

독일어 원문: Vgl. G. Schille, Apg, VIIIf. Auch E. Plümacher, Art. Apostelgeschichte, 486, votiert für eine Zweiteilung, setzt aber die Zäsur hinter Apg 15, 33.

 

빠진 약자를 보완하고, 따옴표 위치와 번역을 바로잡았다.

 

eine Zäsur setzen = 단락을 나누다

 

https://www.duden.de/rechtschreibung/Zaesu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484,

 

15:1-33: 사도회의교회의 마지막 시기의

 

15:1-33: 사도회의교회의 최초 시기

 

독일어 원문: Apg 15, 135: Der Apostelkonvent als Ende der Urzeit der Kirche

 

번역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바울의 사역은 에게해의 서쪽 지역에서 끝나고, 하나님의 구원사적 계획은 바울을 유럽으로 인도한다.(483)

 

바울의 사역은 에게해 영역에서 주로 행해지고, 하나님의 구원사적 계획은 바울을 유럽으로 인도한다.

 

독일어 원문: Die Arbeit des Paulus spielt sich im wesentlichen im Raum der Ägäis ab, und der heilsgeschichtliche Plan Gottes führt ihn nach Europa.

 

번역을 바로잡았다.

 

im wesentlichen = 본질적으로, 주로

 

sich abspielen = 일어나다, 진행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482-483, 각주 2

 

(3) 사도행전에서 전제된 교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은 변증적인 경향을 지녔는데 복음서 기록자들과 변증가들사이의 시기를 가리킨다.

 

(3) 사도행전에서 전제된 교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 및 변증적인 경향은 복음서 기록자들과 변증가들사이의 시기를 가리킨다.

 

독일어 원문: 3) die in der Apg vorausgesetzte kirchliche und politische Situation sowie die apologetische Ausrichtung verweisen auf eine Zeit zwischen ‚Evangelisten und Apologeten‘.

 

주어를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