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바울에 의한 쿰란의 견해는 훌륭하긴 하지만, “바울이 쿰란문헌에 직접 종속되었다는 것은 어디서도 입증되지 않는다.”라는 사실도 성립된다.(100)

 

바울에 의해 수용된 견해들의 쿰란과의 유사성은 여기서 특히 크지만, “바울이 쿰란문헌에 직접 종속되었다는 것은 어디서도 입증되지 않는다.”라는 사실도 성립된다.

 

Die Nähe der von Paulus aufgenommenen Anschauungen zu Qumran ist hier besonders groß, zugleich gilt aber: „Eine direkte Abhängigkeit von den Qumrantexten ist für Paulus nirgends nachzuweisen.“

 

번역을 바로잡았다.

 

die Nähe der von Paulus aufgenommenen Anschauungen zu Qumran ist hier besonders groß, zugleich gilt aber

 

= 바울에 의해 수용된 견해들의 쿰란과 근접은 여기서 특별히 크다, 하지만 동시에 타탕하다

 

zugleich gilt aber: „Eine direkte Abhängigkeit von den Qumrantexten ist für Paulus nirgends nachzuweisen.“

 

= 하지만 동시에 타당하다. “쿰란 문헌들의 직접적인 종속이 바울에게 결코 증명되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사도는 데살로니가 교회 성도들을 위한 자신의 수고와 노력을 데살로니가전서 2:1-12에서 디온 크리소스토모스(기원후 40-120) 같은 진정한 (견유학파) 철학자의 주장과 밀접하게 병행하는 사상으로 기술한다.(99)

 

사도는 데살로니가 교회 성도들을 위한 자신의 수고와 노력을 데살로니가전서 2:1-12에서 표상을 가지고 기술한다. 이 표상은 디온 크리소스토모스(기원후 40-120) 같은 진정한 (견유학파) 철학자의 기술과 유사점이 있다.

 

독일어 원문: In 1 Thess 2, 112 beschreibt der Apostel seine Mühen und sein Werben um die Thessalonicher mit Vorstellungen, die in der Darstellung des wahren (kynischen) Philosophen bei Dio Chrysostomos (ca. 40120 n. Chr.) eine enge Parallele haben.

 

번역을 바로잡았다.

 

in 1 Thess 2, 112 beschreibt der Apostel seine Mühen und sein Werben um die Thessalonicher mit Vorstellungen

 

= 데살로니가전서 2:1-12에서 사도는 데살로니가 사람들을 위한 자신의 수고와 노력을 표상들을 가지고 기술한다.

 

die[=Vorstellungen] in der Darstellung des wahren (kynischen) Philosophen bei Dio Chrysostomos (ca. 40120 n. Chr.) eine enge Parallele haben

 

= 이 표상들은 참된 (견유학파) 철학자 디오 크리소스토모스의 기술과 밀접한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데살로니가전서는 문학적으로 통일성을 드러내며, 편지의 독특성은 신학적, 비문학적 설명이 필요하다.(98)

 

데살로니가전서는 문학적으로 통일성을 드러내며, 편지의 독특성은 신학적, 비문학비평적 설명이 필요하다.

 

독일어 원문: Der 1 Thess stellt eine literarische Einheit dar; die Besonderheiten des Briefes bedürfen einer theologischen und nicht literarkritischen Erklärung.

 

번역을 바로잡았다.

 

literarkritisch = 문학 비평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3) 슈미탈스(W. Schmithals)는 한 편집자가 [...].

 

3) 슈미트할스(W. Schmithals)는 한 편집자가 [...].

 

독일어 원문: c) Einem Redaktor lagen nach W. Schmithals [...] vor, [...].

 

인명을 바로잡았다.

 

‘Walter Schmithals’ 음성 자료:

 

https://www.youtube.com/watch?v=5jb-L6FtsEA

 

https://forvo.com/word/walter_schmithals/#de

 

 

‘Walter Schmithals’ 문서 자료:

 

https://de.wikipedia.org/wiki/Walter_Schmithals

 

 

932<인명 찾아보기> 표제어 및 해당 쪽수의 이름을 바로잡을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잘 알려지지 않은 편집자가 이 두 서신으로부터 데살로니가전서를 구성했고, 동시에 본문을 배열했다.(96)

 

잘 알려지지 않은 편집자가 이 두 서신으로부터 데살로니가전서를 구성했고, 동시에 본문 일부를 직접 작성했다.

 

독일어 원문: Ein unbekannter Redaktor habe dann aus diesen beiden Briefen den kanonischen 1 Thess komponiert und dabei zugleich eine Reihe von Texten selbst verfasst.

 

번역을 바로잡았다.

 

[ein unbekannter Redaktor habe] dabei zugleich eine Reihe von Texten selbst verfasst

 

= [무명의 편집가가] 이때 동시에 일련의 본문들을 직접 작성했다

 

 

96쪽 번역을 볼 것:

 

바울의 것으로 보이지 않는 본문들은 데살로니가전서 2:13-16, 3;5, 4;1-8, 4:10b-12, 5:12-22이다.

 

Nichtpaulinische Texte: 1 Thess 2, 1316; 3, 5; 4, 18; 4, 10b12; 5, 12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