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487, 각주 11

 

쉥케는 코덱스 글라지에르(Glazier)를 두 번째로 중요한 ‘D 본문의 증거라고 평가한다.

 

쉥케는 코덱스 글레이저(Glazier)를 두 번째로 중요한 ‘D 본문의 증거라고 평가한다.

 

독일어 원문: Schenke wertet den Codex Glazier als zweiten wichtigen Zeugen des ‚D-Textes‘.

 

인명을 바로잡았다.

 

(William S.) Glazier = [ˈgleɪʒər] = 글레이저

 

 

참고 사이트:

 

https://en.wikipedia.org/wiki/Codex_Glazier

 

https://www.themorgan.org/manuscript/770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487, 각주 9

 

헬라적, 비극적, 전기적 역사 기록’(M.-Chr. Holzbach, Plutarch: Galba-Otho und die Apostelgeschichte ein Gattungsvergleich, Mnster 2006)

 

헬라적, 숭고적, 전기적 역사 기록’(M.-Chr. Holzbach, Plutarch: Galba-Otho und die Apostelgeschichte ein Gattungsvergleich, Mnster 2006)

 

독일어 원문: ‚hellenistische, pathetische, biographische Geschichtsschreibung‘ (M.-Chr.Holzbach, Plutarch: Galba-Otho und die Apostelgeschichte ein Gattungsvergleich, Mnster 2006).

 

번역을 바로잡았다.

 

pathetisch = 장중한, 비장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487

 

거시적 차원에서 사도행전은 역사적 단행본’(historische Monographie)이라 할 수 있으며, 특히 시대별로 구분된 역사의 전개가 특징이다.

 

거시적 차원에서 사도행전은 역사적 단행본’(historische Monographie)이라 할 수 있으며, 특히 시대별로 구분된 역사의 전개가 특징이다.(아래 4.9를 보라.)

 

독일어 원문: Auf der Makroebene lsst sich die Apostelgeschichte als ‚historische Monographie‘ bezeichnen, die besonders geeignet war, ein in Epochen gegliedertes Geschichtsbild zu entfalten (s. u. 4.9).

 

빠진 곳을 보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전체 서술 안에서 내러티브에는 리듬이 있다.(486)

 

전체 서술 안에서 내러티브 리듬의 변화가 눈에 띈다.

 

독일어 원문: Innerhalb der Gesamtdarstellung fällt ein Wechsel im Erzählrhythmus auf.

 

번역을 바로잡았다.

 

ein Wechsel im Erzählrhythmus auffallen

 

= 이야기 리듬에서 변화가 눈에 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누가는 추상적인 문장의 형태가 아니라 공통점을 인식하도록 유도하는 생생한 장면들을 통해 독자에게 신학적 통찰력을 제공한다.(486)

 

누가는 추상적인 문장의 형태가 아니라 메시지를 인식하도록 유도하는 생생한 장면들을 통해 독자에게 신학적 통찰력을 제공한다.

 

독일어 원문: Lukas bietet theologische Einsichten nicht in der Form abstrakter Sätze dar, sondern vermittelt sie durch lebendige Szenen, die den Leser zur Erkenntnis des Gemeinten führen sollen.

 

번역을 바로잡았다.

 

das Gemeinte = 말한 것, 뜻한 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