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 카우프만,종교개혁의 역사, 황정욱 옮김, , 2017(10).

 

누락

 

그 시대의 사회적 대집단, 농민과 시민, 그리고 하층 귀족과 고위 귀족은 종교개혁에 대해 원칙적으로 지지 혹은 반대 입장에 있지 않았다. 어쨌든 각 사회집단 혹은 신분은 자신들의 실존적 특수 조건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종교개혁 운동을 통해서 일정한 내용 혹은 행동 형태를 발전시켰다. 도시의, 농민의, 영방 제후의 혹은 기사의 종교개혁은 서로 무관하지 않았다.(487)

 

그 시대의 사회적 대집단, 농민과 시민, 그리고 하층 귀족과 고위 귀족은 종교개혁에 대해 원칙적으로 지지 혹은 반대 입장에 있지 않았다. 어쨌든 각 사회집단 혹은 신분은 자신들의 실존적 특수 조건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종교개혁 운동에서 등장했던 일정한 내용 혹은 행동 형태를 수용하거나 발전시켰다. 도시의, 농민의, 영방 제후의 혹은 기사의 종교개혁 체화(體化) 서로 무관하지 않았다.

 

독일어 원문: Die sozialen Großgruppen des Zeitalters, die Bauern und die Bürger, der niedere und der hohe Adel, waren nicht prinzipiell für oder gegen die Reformation eingestellt. Doch rezipierte oder entwickelte jede dieser sozialen Gruppen oder Stände bestimmte Inhalte oder Handlungsformen, die in der reformatorischen Bewegung auftraten, in einer den spezifischen Bedingungen ihrer Existenz entsprechenden Weise. Die Aneignung städtischer, bäuerlicher, territorialfürstlicher oder ritterschaftlicher Reformationen standen nicht beziehungslos nebeneinander.

 

rezipieren = 수용하다

 

Aneignung = 체화(體化)

 

die[=bestimmte Inhalte oder Handlungsformen] in der reformatorischen Bewegung auftraten

 

= 종교개혁 운동 가운데 특정한 내용 또는 행동 형태가 등장했다

 

빠진 단어를 보완하고 문장을 바로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