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두 번째 얼굴은 상황(kontextuelle) 신학 프로그램이다. 여기서도 바르트는 신학이 비신학적인 상황들과 관련을 맺는 것 그 자체를 배격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신학이 <계시를 이성, 실존, 창조, 또는 그 외의 다른 어떤 주체와의 관계 속에 있다고 보는 것그리고 생각하고 말하면서 그것들과 관련짓는 것>그 자체를 거부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바르트는 계시를 상황과 <관련시켜야만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신학은 계시를 기준으로 삼아 다른 주체들을 해석해야지, 다른 주체들을 기준으로 삼아 계시를 해석하지 말아야 한다.>”(142, 문장부호 수정인용)

 

두 번째 얼굴은 상황(kontextuelle) 신학 프로그램이다. 여기서도 바르트는 신학이 비신학적인 상황들과 관련을 맺는 것 그 자체를 배격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신학이 <계시를 이성, 실존, 창조, 또는 그 외 다른 핵심 개념이 이제 무엇이든 간에 그 개념과의 관계 속에 있다고 보는 것그리고 생각하고 말하면서 그것들과 관련짓는 것>그 자체를 거부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바르트는 계시를 상황과 <관련시켜야만 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신학은 계시를 기준으로 삼아 다른 핵심 개념들을 해석해야지, 다른 핵심 개념들을 기준으로 삼아 계시를 해석하지 말아야 한다.>”

 

독일어 원문: Ein anderes Gesicht ist das Programm einer kontextuellen Theologie. Nicht an sich einen Bezug der Theologie auf nichttheologische Kontexte bestritt Barth, nicht dies, daß sie »die Offenbarung in Beziehung sieht und denkend und sprachend in Beziehung setzt (in Beziehung setzen muß!) - zur Vernunft, Existenz, Schöpfung oder wie die andere Instanz nun heißen mag.« Aber dafür stritt er, »daß sie jene andern Instanzen nach Maßgabe der Offenbarung und nicht etwa die Offenbarung nach Maßgabe jener andern Instanzen interpretieren« soll.

 

wie die andere Instanz nun heißen mag = 다른 핵심 개념들이 이제 무엇이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