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하르트 부쉬,위대한 열정, 박성규 옮김, 새물결플러스, 2017(2).

 

그렇기 때문에 교의학은 자신의 대상을 항상 새로운 관점에서 고찰해야 한다. 단지 <시간은 변화하고 우리는 그 시간 안에 있다는 이유로> 그렇게 해야만 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 대상이 매우 운동력이 있기 때문에, 교의학의 대상은 그 대상을 추구하는 교의학을 지속적인 운동 상태에 놓는다. 그 운동은 끝이 없고 어떤 <결과>에 도달하지 않으며, 어떤 체계가 되는 법이 없고, 오히려 언제나 또 다시 개방된 곳으로 접어든다(/2, 860).”(65, 문장부호 수정인용)

 

그렇기 때문에 교의학은 자신의 대상을 항상 새로운 관점에서 고찰해야 한다. 단지 <시간은 변화하고 우리는 그 시간 안에 있다는 이유로> 그렇게 해야만 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 대상이 매우 운동력이 있기 때문에, 교의학은 그 대상을 추구하는 교의학을 지속적인 운동 상태에 놓는다. 그 운동은 끝이 없고 어떤 <결과>에 도달하지 않으며, 어떤 체계가 되는 법이 없고, 오히려 언제나 또 다시 개방된 곳으로 접어든다(/2, 860).”

 

독일어 원문: Deshalb und nicht etwa, weil »sich die Zeiten ändern und wir uns in ihnen«, muß sie[=die Dogmatik] ihren Gegenstand unter immer wieder neuen Gesichtspunkten anvisieren. Weil ihr Gegenstand so bewegend ist, darum hält sie[1] die ihm nachgehende Dogmatik so in Bewegung, daß sie[2] eigentlich an kein Ende, nicht zu einem »Resultat« kommen, nicht zu einem System werden, sondern immer wieder nur ins Offene münden kann (/2, 860).

 

sie[=die Dogmatik] = sie[1] =sie[2] = 교의학

 

주어가 교의학의 대상이 되려면 = er = ihr Gegenstand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