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로마이어(E. Lohmeyer)는 최초 그리스도교 예배에서 바울서신의 서두와 결미의 형식을 설명한다. 다음은 예배가 시작되고 종료되는 형식이다. 그러나 최초 그리스도교 예배의식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매우 다양한 형태의 그리스도교 전승의 삶의 자리로 볼 수 있듯이 너무 단편적이다.(88)

 

로마이어(E. Lohmeyer)는 최초 그리스도교 예배로 바울서신의 서두와 결미의 형식을 설명한다. 편지의 서두와 결말 문구가 예배가 시작되고 종료되는 형식이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초 그리스도교 예배의식에 대한 우리의 지식은 너무 단편적이어서 이 문구로 매우 다양한 형태의 그리스도교 전승의 삶의 자리를 파악할 수는 없다.

 

독일어 원문: E. Lohmeyer erklärt die Ein- und Ausleitungsformeln des paulinischen Briefes aus dem urchristlichen Gottesdienst. Es seien jene Formeln, mit denen die Gottesdienste begonnen und beendet wurden. Die Kenntnisse über die Liturgie urchristlicher Gottesdienste sind aber zu bruchstückhaft, als dass hier der Sitz im Leben für sehr verschiedenartige Formen christlicher Überlieferung gesehen werden könnte.

 

번역을 바로잡았다.

 

zu A, als dass B

 

= B하기에는 너무 A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