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이 부분은 주문장의 동사 감사하다’(εχαριστεν) 다음에 편지의 머리말(Proömium)로 묘사된다.(84)

 

이 부분은 주문장의 동사 감사하다’(εχαριστεν)에 따라 편지의 감사말(머리말)로 불린다.

 

독일어 원문: [...], der[=Briefteil] nach dem Verbum des jeweiligen Hauptsatzes εχαριστεν als briefliche Danksagung (Proömium) bezeichnet wird.

 

번역을 바로잡았다.

 

nach dem Verbum des jeweiligen Hauptsatzes εχαριστεν

 

= 각 주문장의 동사(‘감사하다’)에 따라

 

der[=Briefteil] als briefliche Danksagung (Proömium) bezeichnet wird

 

= 이 편지 부분은 편지의 감사말(서언)로 불린다

 

Proömium = 서언, 머리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