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신약성서 서신문학의 양식사적 이해는 금세기에 다이스만(A. Deissmann)이 편지(Brief)와 서한(Epistel)으로 구분함으로써 규정되었다.(76)

 

신약성서 서신문학의 양식사적 이해는 20세기에 다이스만(A. Deissmann)이 편지(Brief)와 서한(Epistel)으로 구분함으로써 규정되었다.

 

독일어 원문: Die formgeschichtliche Erfassung der ntl. Briefliteratur wurde in diesem Jahrhundert wesentlich durch A. Deissmanns Unterscheidung zwischen Brief und Epistel bestimmt.

 

저자의 오류를 바로잡았다.

 

in diesem Jahrhundert = 금세기 = 21세기

 

다이스만(1866-1937) 저서의 출간 = 1908= 20세기

 

A. Deissmann, Licht vom Osten, Tübingen 1908.

 

https://de.wikipedia.org/wiki/Adolf_Dei%C3%9Fman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