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마가는 역사 지리적-전기적 내러티브 본문과 케리그마적 호소를 확고하게 결합하고 십자가를 향한 예수의 길을 극적인 사건으로 묘사한다.(288)

 

마가는 사료 편찬적-전기적 내러티브 본문과 케리그마적 호소를 확고하게 결합하고 십자가를 향한 예수의 길을 극적인 사건으로 묘사한다.

 

독일어 원문: Indem Markus historiographisch-biographischen Erzähltext und kerygmatische Anrede fest verbindet und Jesu Weg zum Kreuz als dramatisches Geschehen darstellt, [...].

 

번역을 바로잡았다.

 

historiographisch = 사료 편찬의

 

 

508쪽의 번역을 볼 것:

 

역사 사료 편찬(Historiographie)은 무엇보다도 흩어져 있는 전승 파편에 의미 있는 맥락을 주입하는 예술이다.

 

Historiographie ist zuerst die Kunst, verstreuten berlieferungsfragmenten einen bedeutungsvollen Zusammenhang einzustifte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