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M. Lang)은 누가의 바울 묘사에서 새로운 종교(religio nova)와 동시대의 문화 지식에 대한 이해/수용이 중심에 있음을 본다.(507)

 

(M. Lang)은 누가의 바울 묘사에서 새로운 종교(religio nova)의 생성과 동시대의 문화 지식 내의 새로운 종교 이해/수용이 중심에 있음을 본다.

 

독일어 원문: Für M. Lang steht das Entstehen einer religio nova und ihr Verstehen/ihre Rezeption innerhalb des zeitgenössischen Kulturwissens im Mittelpunkt der lk. Paulusdarstellung.

 

빠진 단어를 보완하고 번역을 바로잡았다.

 

das Entstehen einer religio nova und ihr Verstehen/ihre Rezeption

 

= 새 종교의 생성과 새 종교의 이해/수용이

 

innerhalb des zeitgenössischen Kulturwissens

 

= 동시대 문화 지식 내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