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서방 본문의 형태에서는 문체와 언어의 다듬기 , 명료화와 정확화 , 가정된 혹은 실제의 긴장(참조. 예를 들어 행 3:11, 10;25, 12:22, 14:6-7, 14:18-19, 15:34, 16:30, 35, 39, 20:4) 및 내용적인 변경이 발견된다.(488, 부분 생략 인용)

 

서방 본문의 형태에서는 문체와 언어의 다듬기 , 명료화와 정확화 , 가정된 혹은 실제의 긴장 조정(참조. 예를 들어 행 3:11, 10;25, 12:22, 14:6-7, 14:18-19, 15:34, 16:30, 35, 39, 20:4) 및 내용적인 변경이 발견된다.

 

독일어 원문: In der westlichen Textform finden sich stilistische und sprachliche Glättungen (vgl. z. B. Apg 12, 45), Verdeutlichungen und Präzisierungen (vgl. z. B. Apg 12, 1.3.4f.7.10; 16, 10f; 18, 2; 19, 9; 20, 15; 21,1), Ausgleich von vermeintlichen oder wirklichen Spannungen (vgl. z. B. Apg 3, 11; 10, 25; 12, 22; 14, 6f; 14, 18f; 15, 34; 16, 30.35.39; 20, 4) und auch inhaltliche Veränderungen.

 

빠진 단어를 보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