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452, 각주 411

 

누가의 이 구성을 역사적인 것으로 고려한다면, 누가가 사도행전 16:1720:5의 사이 기간에 부재함에도 왜 바울서신에 나오지 않는 많은 것들을 보고해야 했는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된다!

 

누가의 이 구성을 역사적인 것으로 고려한다면, 누가가 사도행전 16:1720:5의 사이 기간에 부재함에도 많은 것들을 보고하면서도, 바울의 편지들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보고하지 않는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된다!

 

독일어 원문: Selbst wenn man diese lukanische Konstruktion für historisch hält, stellt sich die Frage, warum Lukas für den Zeitraum zwischen Apg 16,17 und 20,5 trotz seiner Abwesenheit vieles zu berichten weiß, nichts aber von den paulinischen Briefen!

 

번역을 바로잡았다.

 

stellt sich die Fragestellt sich die Frage

 

= 의문이 생긴다

 

warum Lukas vieles zu berichten weiß, nichts aber von den paulinischen Briefen!

 

= 왜 누가 많은 것을 보고할 수 있었지만, 바울의 편지들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보고할 수 없었는지!

 

für den Zeitraum zwischen Apg 16,17 und 20,5

 

= 사도행전 16:1720:5 사이의 기간에

 

trotz seiner Abwesenheit

 

= 누가의 부재에도 불구하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