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451, 각주 408

 

예를 들어 바울과 누가의 인간론은 근본적으로 구별된다. 태거는 다음과 같이 적절하게 표현한다. “하나님은 인간의 구원을 원하신다. 사람이 어떻게 이 구원에 참여하게 되는지에 대해 선포자들은여러 관점에서결정적인 발걸음을 인간 자신이 내딛어야 한다(아니 내디딜 수 있다.)고 말한다.”(J. W. Taeger, Der Mensch und sein Heil, 222.)

 

예를 들어 바울과 누가의 인간론은 근본적으로 구별된다. 테거 누가의 인간론을 다음과 같이 적절하게 표현한다. “하나님은 인간의 구원을 원하신다. 사람이 어떻게 이 구원에 참여하게 되는지에 대해 선포자들은여러 관점에서결정적인 발걸음을 인간 자신이 내딛어야 한다(아니 내디딜 수 있다.)고 말한다.”(J. W. Taeger, Der Mensch und sein Heil, 222.)

 

독일어 원문: Grundlegend sind z. B. auch die Unterschiede zwischen der paulinischen und lukanischen Anthropologie. Für Lukas formuliert J. W. Taeger, Der Mensch und sein Heil, 222, treffend: „Gott will das Heil der Menschen; wie man dieses Heils teilhaftig wird, sagen die Verkündiger, den in jeder Hinsicht entscheidenden Schritt muss (und kann) der Mensch selbst tun.“

 

인명 표기와 번역을 바로잡았다.

 

아래, 발음사전을 참고할 것:

 

Duden Aussprachewörterbuch, 2005, 43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