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슈넬레, 신약정경개론, 김문경·문병구·임진수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2024(초판 2).

 

양식과 내용은 하나의 통일성을 형성하며, 그 문학적 구조는 신학의 형태화 의지(Gestaltungswillen)간접적인 표현이기 때문에 신약성서 각 문서의 신학은 신약성서 전체를 이해하는 데 결정적으로 중요하다.(38)

 

양식과 내용은 하나의 통일성을 형성하며, 그 문학적 구조는 신학의 형태화 의지(Gestaltungswille)직접적인 표현이기 때문에 신약성서 각 문서의 신학은 신약성서 전체를 이해하는 데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독일어 원문: Weil Form und Inhalt eine Einheit bilden, die literarische Struktur unmittelbarer Ausdruck eines theologischen Gestaltungswillens ist, kommt der Theologie einer ntl. Schrift eine entscheidende Bedeutung für ihr Gesamtverständnis zu.

 

표제어와 번역을 바로잡았다.

 

unmittelbar = 직접적인

 

간접적인’ = mittelba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